사업실패에 가정불화까지..그런 언니에게 찾아온 낯선 남성
사랑에 눈 멀어 마약 손 댄 언니..죄수복 입은 모습에 가족들 '오열'
단약 성공 후 대학 들어가 제2의 인생 출발
[편집자주] 대한민국은 마약 안전지대인가? 아닙니다. 마약 청정지역이 아니라는 사실이 최근 증명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이미 한 해 마약사범만 1만2000명, 많게는 1만6000명이 검거되고 있는 마약 오염국입니다. 최근 재벌가를 비롯해 연예인들의 마약투약 사실이 줄줄이 적발되면서 모방범죄도 우려되고 있는 형편입니다. 문제는 마약의 위험성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독증상’이라는 추상적인 부작용만 알려져 있을 뿐입니다. 우리가 모르고 있는 마약의 실상과 위험은 무엇일까? 뉴스핌은 마약중독자와 그 가족의 삶을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 그들이 직접 쓴 수기를 입수해 연중기획으로 보도합니다. 건강한 삶과 가정을 마약이 어떻게 파괴하는지, 마약정책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짚어봅니다.
[서울=뉴스핌] 임성봉 윤혜원 기자 = 언니의 삶에 마약이라는 어둠의 그림자가 드리울 줄은 몰랐다.
두 아이의 엄마인 언니는 언제부터인가 말수가 부쩍 줄었다. 가족들 모두 언니가 둘째 아이를 낳고 산후우울증을 겪는다고만 생각했다. 나중에야 안 사실이지만 언니는 당시 시부모님과 큰 갈등을 겪고 있었다고 한다.
특히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남편과도 자주 싸우면서 가정생활에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했다. 가족들은 천성이 밝고 활발한 언니에게 그런 문제들은 스쳐가는 바람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무지했고 또 무심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대검찰청 본관. 2019.01.22 mironj19@newspim.com |
그 즈음 언니는 학업 문제로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것 같다. 언니는 결혼 후 대학에 보내주겠다는 시어머니의 약속을 믿고 결혼생활을 시작했는데, 꿈은 점점 멀어져만 갔다. 첫째 아이가 생기고 둘째까지 태어나면서 언니는 펜보다는 빨래와 설거지를 손에 쥐어야 했다.
다행스럽게도 언니는 말재주가 좋았고 사람 만나는 일을 좋아해 정수기회사의 판매사원으로 재취업에 성공했다. 꽤 재능이 있었던 덕인지 언니는 남들보다 실적이 월등히 좋았다. 언니는 승진가도를 달렸고 해외연수도 갈만큼 사내에서 인정받았다.
그러던 어느날 언니는 “우연한 기회에 작은 사업에도 손을 댔는데 제법 크게 성장했다”며 가족들에게 자랑을 늘어놨다. 우리는 언니가 다시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온 것 같아 안도했다. 희망에 부풀었던 그 모습을 가족들 모두 잊지 못한다.
하지만 언니가 뛰어든 사업은 곧 의료기 회사를 빙자한 다단계 회사에 걸려들면서 좌초한다. 언니는 사업에 실패하면서 사람들에게 쫓겨 다니기 시작했고 시댁과의 극심한 불화 끝에 가정도 모두 무너졌다.
인생의 가장 힘든 시기를 맞은 언니는 한 남자를 만나게 된다. 어떻게 어디서 만났는 지는 알 수 없었지만, 그 남자가 언니에게 큰 위로가 됐던 듯하다. 이 남자와의 만남으로 인해 언니는 인생의 밑바닥까지 추락하게 된다.
그는 마약 전과만 10범이 넘었다. 마약 중독자였고 마약 밀매나 사기 등으로 교도소 생활을 오래했다. 말재주가 뛰어났고 외모도 깔끔하고 준수한 모습이었다. 그의 존재를 알았을 때 말렸어야 했는데. 가족들 모두 그와의 은밀한 관계를 일찍 알아차리지 못했다는 사실을 평생 후회하고 있다.
어느날 밤, 집으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자신을 인근 경찰서 형사라고 소개했다. 잠결에 잘못 들은 건가 싶어 몇차례나 “경찰서에서 전화를 건 게 맞냐”고 물었다. 법 없이도 살 수 있었던 우리 가족에게 경찰서에서 전화라니….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그리고 이내 불길한 직감이 머리를 스쳤다.
부리나케 달려간 경찰서에는 언니가 고개를 푹 숙인채 의자에 앉아 조사를 받고 있었다. 옆에는 ‘그 남자’도 함께 있었다. 경찰은 마약 전과가 화려했던 그가 언니에게 접근해 약을 먹인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황당하게도 언니는 그런 경찰에게 남자를 변호하며 “이 남자와 사랑하는 사이고 모든 죄는 내게 있으니 남자를 놓아주라”며 악다구니를 질렀다.
초범인 언니는 전과가 있는 남자를 구하겠다는 생각으로 모든 죄를 뒤집어 쓸 심산이었다. 경찰 마저도 이를 지켜보며 안타까워했다. 경찰은 언니가 협박을 당했거나 당장의 어리석은 판단을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했다. 어르고 달래봤지만 아무 소용 없었다.
그렇게 언니는 결국 차가운 구치소로 들어갔다. 쇠철창 사이로 죄수복을 입은 언니의 모습을 보고 우리는 한참을 울었다.
부모님은 언니에게 “너는 지금 그 남자에게 속고 있으니 죄를 회개하고 그 남자와의 관계도 정리하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언니는 웃는 얼굴로 “그 남자와 함께라면 실형도 살겠다”며 가족들 가슴에 대못을 박았다. 면회를 마치고 돌아온 날, 가족 모두 눈물로 밤을 지새웠다. 우리는 밤낮으로 언니를 위해 기도했고, 또 울부짖었다. 어머니는 눈물로 꾹꾹 눌러쓴 편지를 판사에게 보냈다. 어머니의 탄원서 덕인지 언니는 실형을 면하고 가벼운 벌금형만 선고받았다.
하지만 실형을 선고받아 교도소로 들어간 그 남자는 언니에게 지속적으로 편지를 보냈다. 특히 우리 가족을 힘들게 했던 언니가 구치소에서 알게 된 다른 마약 중독자들이었다. 그들은 언니를 만나기 위해 신분을 숨기고 우리집을 찾아오고는 했다.
그들은 언니에게 “경찰이 찾아올 것 같다”, “누가 나를 신고할 것 같다”고 말하며 주변을 둘러보는 등 불안해하는 모습이었다. 얼굴은 예뻤지만 마약에 찌들어 피부는 처지고 나이도 더 들어보였다.
사실 이들은 언니가 아직 마약을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해 집을 찾아온 것이었다. 경찰에 언니의 이름을 대고 감형을 받으려는 속셈이었다. 우리 가족과 언니는 잘 보살펴주려고 했지만, 이들은 오히려 언니를 이용하려고만 했다.
경남 창녕군 국립부곡병원 내 약물진료소로 향하는 계단 [사진=임성봉 기자] |
단약에 들어간 언니는 극심한 고통에 시달렸다. 몸이 아프다거나 정신적으로 불안증세를 보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새출발을 향한 언니의 각오는 대단했다. 힘들어하는 언니에게 “약 끊으면 꼭 대학에 가자”고 다독였다. 식은땀을 흘리며 몸을 벌벌 떨던 언니는 그 말을 들을 때면 힘겨운 웃음을 보였다.
오랜 단약(마약을 끊는 일) 끝에 언니는 꿈에 그리던 ‘교수’를 목표로 대학에 들어갔다. 어려움에 처한 청소년들을 도와주고 싶다며 청소년 관련 전공을 선택했다. 운좋게 직장도 구했다. 마약을 끊으면서 언니의 모든 일이 잘 풀리는 것만 같았다. 물론 ‘완전한 단약은 없다’고 믿는 언니는 정신과 치료와 학업, 직장생활을 병행하고 있다.
마약에 중독됐던 언니의 슬픈 과거를 보면서 가족들 모두 ‘마약 중독자’에 대한 인식이 모두 바뀌었다. 그들이 얼마나 고통을 겪는지 온몸으로 겪으면서 생긴 변화였다. ‘마약 중독자는 괴물’이라던 어머니는 현재 교도소에 있는 수감자들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고 있다. 이들을 만나 기도해주고 또 책을 넣어준다. 특히 한 살인자와도 꾸준히 편지를 나누며 격려하고 있다. 그들을 보며 우리 가족은 어느 누구도 마약으로 인해 불행한 인생을 살지 않기를 오늘도 소망한다.
※ 마약에 중독됐을 경우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를 통해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국립부곡병원 △시립은평병원 △중독재활센터에서 무료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imb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