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상호관세 적용 대상서 스마트폰·컴퓨터 일단 제외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반도체를 일단 제외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장은 애플과 삼성전자 등이 상호관세의 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CNBC 등에 따르면 미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 '특정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예외' 지침을 발표했다. 지침에 따르면 컴퓨터와 스마트폰, 하드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에는 상호관세가 면제된다. 블룸버그통신은 이 같은 제품이 대체로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으며 미국 내에서 이들을 생산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애플과 삼성전자가 당장은 상호관세 면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상호관세가 면제되는 제품에는 반도체 장비도 포함됐다. 블룸버그는... [관세 뉴노멀] 아이폰이 400만원?…갤럭시도 안전지대 아니다 트럼프, 中 제외 국가에 상호관세 90일 유예…기본 10% 관세만 적용 中, 트럼프 관세 공세에 반격 "할리우드 영화 수입 줄인다"
[무기전쟁] "F-35 만드는 바보들"...팔란티어-안두릴 방산 '게임 체인저'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세계 각국이 전통적인 무기체계의 양적 확대를 넘어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국방력을 강화하는 무기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첨단 기술 기반의 방위 체계가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고 작전 측면에서도 정밀하고 신속한 임무 수행이 확인되면서 이런 흐름은 한층 탄력을 받았다. ◆ 변화의 기수들 AI 활용도 여하에 따라 '국가 간 군사력 균형'도 재편될 수 있다는 관측을 불러온 이른바 '지능형 방위 체제'로의 조류 변화 중심에는 미국의 팔란티어와 안두릴이 있다. 둘 다 AI 등을 활용한 방위 소프트웨어를 미국과 동맹국의 군사·정보기관에 판매하는 곳이다. 정보 우위를 25-04-13 08:00
[GAM]KLA, 엔비디아 한계론 '강 건너 불구경'…갈 길이 바쁘다① 이 기사는 4월 11일 오후 4시2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월가에서 미국 반도체 주식의 투자심리를 쥐락펴락하는 엔비디아에 대해 고성장 재연 가능성 여부를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벌어지는 가운데 검사장비 회사 KLA(종목코드: KLAC)는 관련 논쟁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바라보고 있다. 엔비디아가 중심에 있는 고성능 반도체 개발의 경쟁 심화 현상과 무관하게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25-04-12 08:00
[GAM]KLA, 엔비디아 한계론 '강 건너 불구경'…갈 길이 바쁘다② 이 기사는 4월 11일 오후 4시3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KLA, 엔비디아 한계론 '강 건너 불구경'…갈 길이 바쁘다①>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4. 실적서 훈풍 확인 반도체 시장의 수요나 전략 변화에 의한 수혜는 최근 실적에서 확인된다. 지난 1월30일 공개된 KLA의 25-04-12 08:00
[무기전쟁] 유럽 재무장…글로벌 방산 산업 구조적 변화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와 함께, 유럽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80년간 유지돼 온 미국 중심 안보 체제의 균열에 대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6일(현지시간) 백악관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미국이 곤경에 처했을 때 우리를 도울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라며, "방위비를 내지 않으면 방어해 주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나토(NATO) 집단방위 의무(헌장 제5조)를 재조정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유럽 각국의 안보 불안을 키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전쟁 장기화 역시 유럽이 냉혹한 현실을 자극하는 계기가 됐다. 25-04-12 07:00
백악관 "트럼프 中과 무역 합의에 낙관적...보복하면 안 좋을 것"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미국과 중국 간 보복 관세 전쟁이 격화하며 글로벌 금융 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합의 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합의에 열려 있다는 점을 매우 분명히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25-04-12 05:21
트럼프 "관세 정책 잘 진행되고 있다"...시장 불안감 무마 안간힘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자신의 관세 정책이 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우리는 우리의 관세를 정말 잘하고 있다"고 적었다. 25-04-12 03:05
유럽증시, 미·중의 공격·반격 '관세 전쟁' 보며 소폭 하락… 3주 연속 내려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11일(현지시간) 영국을 제외한 유럽 주요국 증시가 소폭 떨어졌다. 세계 경제 1,2위인 미국과 중국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양상의 양보 없는 관세 전쟁에 돌입하면서 글로벌 경제가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가 시장 저변에 깔렸다. 영국 경제는 예상을 크게 웃도는 성장을 기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증시에 따뜻한 바람을 불어넣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0.48포인트(0.10%) 내린 486.80으로 장을 마쳤다. 이 지수는 이번 주 1.8% 하락했다. 주간 기준으로 3주 연속 떨어졌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188.63포인트(0.92 25-04-12 02:55
뉴욕 연은 총재 "미국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아니다"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고위 인사가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고물가) 상태에 빠진 것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11일(현지시간)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이것은 스태그플레이션이 아니다"며 "나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의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엇이었는지 알 만큼 나이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것은 두 자릿수의 실업률과 두 자릿수의 인플레이션이었고 꾸준한 고물가와 경제 약세가 지속하던 때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금융시장 일부에서 부각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평가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관세로 인해 경기 활동이 위축되고 인플레이션이 다시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을 맞이할 25-04-12 01:35
[GAM] ② GPC 52주 최저가...관세 위기 속 배당왕 담을 기회 이 기사는 4월 10일 오후 4시5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① GPC 52주 최저가...관세 위기 속 배당왕 담을 기회>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제뉴인 파츠(종목코드: GPC)의 글로벌 입지는 새로운 관세 체제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는 평가가 있다. 다양한 공급, 제조, 유통 라인을 갖춘 제뉴인 파츠는 여러 시장에서 현지 생산 부품을 제공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 25-04-11 23:53
[GAM] ① GPC 52주 최저가...관세 위기 속 배당왕 담을 기회 이 기사는 4월 10일 오후 4시5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인한 시장 혼란 속에서 미국의 자동차 및 산업용 교체 부품 유통업체 제뉴인 파츠(종목코드: GPC)의 주가가 9일(현지 시각) 뉴욕증시에서 104.01달러까지 하락하며 52주 최저치를 기록했다. 69년 연속 배당을 늘려온 안정적인 '배당왕' 기업인 제뉴인 파츠의 최근 주가 하락은 투자자들에게 저가 매수 기회 25-04-11 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