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전기·전자

속보

더보기

[써보니] 접고 펼치고 쓸모가 2배…가볍고 똑똑해진 갤럭시 Z 폴드6

기사입력 : 2024년09월28일 09:37

최종수정 : 2024년09월28일 09:37

이전 모델 대비 가볍과 얇아져...'아재폰' 불명예 벗었다
커버 디스플레이 효용성 개선...대화면 장점 여전
220만원대에서 시작하는 가격·S펜 미포함은 아쉬워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기존 갤럭시 Z 폴드 시리즈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갖고 있었다. 바로 '아재폰'이다. 펼치면 대화면으로 넓어졌지만 디자인이 투박하며 무거워 벽돌폰이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다. 무엇보다 생산성이 높아 아재들이 많이 쓴다. 영업 쪽 일을 하는 친구가 업무용으로 이전 폴드를 꺼냈을 때 그 말이 무슨 말인지 바로 알았다.

그랬던 갤럭시 Z 폴드 시리즈가 더 가볍고 얇아진 Z 폴드6로 돌아왔다. 디자인도 개선되며 아재폰 오명을 벗어던지고자 노력한 흔적이 보였다. 또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각종 AI 기능은 생산성을 더욱 높여줬다. 직접 2주일 동안 사용해본 갤럭시 Z 폴드6는 단순히 아재폰으로만 보기에는 아쉬웠다.

갤럭시 Z 폴드6는 펼치면 진가가 드러난다. 넓은 화면은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는 데 좋다. [사진= 정승원 기자]

펼치기 전의 폴드6는 바(Bar)형의 스마트폰보다는 가로 폭이 좁지만 충분한 가시성의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커버 디스플레이는 22.1:9의 비율로 테두리인 베젤이 줄어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했다. 두께가 얇아져서 접은 상태에서도 바형 스마트폰처럼 쓰기에 문제가 없었다. 실제로 웹툰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펼쳐서 사용하는 것보다 커버 스크린으로 보는 것이 더 화면 비율이 맞았다. 커버 스크린을 개선하는 것이 폴드6의 한 수인 것으로 보였다.

무게는 239g으로 전작 대비 14g이 줄었다. 227g의 아이폰 16 프로맥스보다 10g 이상 무겁지만 232g인 갤럭시 S24 울트라와 들었을 때는 오히려 폴드6가 더 가벼운 듯한 느낌도 들었다. 울트라 시리즈나 기존 폴드를 써온 사용자라면 확실히 가벼워졌음을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무게뿐만 아니라 두께도 얇아졌다. 갤럭시 S24 울트라를 사용하고 있는 아내는 접은 상태의 폴드6를 잡아보더니 생각보다 얇다고 했다. 디자인도 세련되게 바꿨다. 표면은 고급스러운 무광 재질로 바뀌었고 각진 모서리는 갤럭시 S24 울트라와 같은 프리미엄폰의 느낌을 줬다.

역시 폴드의 강점은 디스플레이를 펼치니 나타났다. 유튜브 앱을 실행시켜 영상을 시청하니 기본이나 가로 모드 모두 다른 스마트폰에서는 볼 수 있는 넓은 화면을 경험할 수 있었다. 가운데 접히는 부분도 더욱 평평해져 화면 시청에 거슬리지 않았다.

넓은 활용한 멀티 태스킹도 장점이다. 양 옆으로 화면을 띄워놓고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넓은 화면으로 멀티태스킹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폴드의 장점이 줄어들 것으로 느껴졌다. 넓은 화면은 게임을 하는 데도 강점을 가진다. 최대 2600니트의 밝기를 지원하고 193.2mm(7.6형)의 대화면 디스플레와 생생한 그래픽의 레이 트레이싱은 몰입감 있는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갤럭시 Z 폴드6에는 AI 기능도 적용됐다. 인기 보이그룹 세븐틴의 자체 컨텐츠 '고잉세븐틴'에서 중국인 멤버 디에잇과 준이 대화하는 내용을 듣고 통역을 해줬다. 물론 정확도는 더욱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화면 캡쳐]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갤럭시 AI 기능도 Z 폴드6에서 새롭게 적용된 부분이다. Z 플립6에서 사용해본 통역 기능도 잘 작동했다. 인기 보이그룹 세븐틴의 자체 컨텐츠 고잉 세븐틴에서 중국인 멤버 디에잇과 준이 말하는 중국어를 인식해 통역해줬다. 다만 인식이 부정확해 틀리게 번역될 때가 있어 향후 통번역 기능의 고도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 통역을 위한 마이크를 켜놓고 멤버들이 한국어와 중국어를 섞어쓰니 한국어를 중국어로 인식하는 문제도 생겼다. 

생산성도 높였다. 화면의 오른쪽 엣지 패널의 선택하면 스케치 변환과 영역 선택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택 영역을 번역한다든지 기프티콘을 삼성월렛에 넣는다든지 주소를 확인한다든지의 업무가 가능하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역시 가격이다. 갤럭시 Z 폴드6는 220만원대부터 시작한다. 아무리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라고 하더라도 비싼 편이다. 실제로 155만원부터 시작하는 아이폰 16프로, 152만원부터 시작하는 갤럭시 S24 울트라와 비교하면 70만원 정도 비싸다. 이에 삼성전자도 폴드 슬림 모델 출시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펜을 사용할 수 있고 효용성도 높을 듯 같데 별도 구매인 점도 아쉬웠다. 

Z 폴드6는 장단점이 확실한 모델이다. 넓은 화면과 향상된 기능, 더욱 얇고 가벼워진 기기로 이전 모델 대비 생산성이 좋아졌다. 접었다 펼치며 넓은 화면을 활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폴더블폰을 이용하고 싶은 사용자라면 Z 폴드6는 추천할 만한 선택지 중의 하나다. Z 폴드6는 256GB, 512GB, 1TB 모델로 출시되며 가격은 각각 222만9700원, 238만8100원, 270만4900원이다.

멀티태스킹이야말로 Z폴드6를 쓰는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영상을 보면서 SNS도 하거나 쇼핑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기 입맛에 맞게 화면을 나눠 사용할 수 있다. [사진= 정승원 기자]

origi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