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 완화·투자 확보 시험대
세계가 주시하는 고위험 외교전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24일 밤(현지시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3개국 순방길에 오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치·경제적 긴장 속에 고위험 외교전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왔다. 사전에 철저히 준비된 여타 순방과 달리 곳곳에 외교적 함정이 도사리고 있어, 성공할 경우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지만 실패할 경우 엄청난 역풍에 직면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치전문지 폴리티코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두 번째 임기 중 가장 위험한 외교 일정으로 평가되는 아시아 순방에 나선다며 "강철 주사위가 던져졌다(Throw of the iron dice)"고 보도했다.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의 말을 인용해 "이건 미국 대통령이 감행한 여행 중 가장 위험한 여정 중 하나다. 중국 공산당은 이미 미국에 대한 경제 전쟁을 선언했다. 이는 말 그대로 '강철 주사위를 던진' 격이다. 판돈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전했다. '주사위를 던진다(Roll of the dice)'는 영어 관용구에 빗대, 이번 아시아 순방이 위험 부담이 크지만 성공 시 그만큼의 외교적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방문했던 유럽이나 중동과 달리 이번 일주일간의 아시아 순방은 불확실성과 긴장으로 가득하다고 폴리티코는 지적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이 예정된 한국 방문은 미중 무역전쟁을 완화할 계기가 될 수 있지만, 회담 성사 자체가 아직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번 순방에서 미국의 지역 패권을 강화하는 무역·투자 협정을 달성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협상이 결렬되면 세계 시장을 뒤흔드는 대규모 통상 충돌로 이어질 수도 있다.
CNBC는 이번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을 '고위험-고보상(high-risk, high-reward)'의 만남으로 평가하며, 협상 성공 시 미중 관계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실패할 경우 장기적인 경색 국면에 들어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미·중 양측이 최근 보복성 제재로 흔들린 관계를 '재설정(reset)'하려 하겠지만, 서로 대규모 양보는 피하려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글로벌 컨설팅사 아시아 그룹(The Asia Group)의 한 션 린 국장은 "양국은 포괄적 무역합의보다는 진행 중인 무역협상 재개에 합의할 가능성이 높으며, 근본적인 구조적 갈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고 어쩌면 영원히 그럴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 |
| 2025년 10월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국빈 만찬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카르텔과 인신매매에 대한 행정부 정책 발표 중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사진=로이터 뉴스핌] |
폴리티코는 중국 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으로부터 각각 약속받은 대미 투자 확대를 공고히 하려 하지만, 한국과의 3500억 달러(49조 원) 규모 협정은 여전히 조율 중이며 일본의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는 5500억 달러(77조 원) 규모 투자 패키지가 불공정할 경우 협정을 철회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백악관 관계자는 폴리티코에 "트럼프 대통령은 단순히 대화를 위해 여행하는 사람이 아니다. 그는 주요 무역협정을 이끌어내고, 대규모 투자를 확보하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획기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해 떠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순방의 성과는 전례 없이 명확히 드러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트럼프 외교의 성패를 가를 중대한 시험대가 될 전망인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세계는 이제 트럼프가 던진 '강철 주사위'가 어떤 결말을 맞을지 주목하고 있다.
dczoomi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