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인공지능·이차전지·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육성 전략 담은 '경기도 국가전략기술 육성 방안 연구' 보고서 발간
[수원=뉴스핌] 박노훈 기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은 반도체·인공지능·이차전지·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육성 전략을 담은 '경기도 국가전략기술 육성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 |
보고서 표지. [사진=경과원] |
이번 연구는 국가전략기술이 산업을 넘어 국가안보와 경제주권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으로 부상한 상황에서 국내 제조업과 첨단산업의 중심지인 경기도의 현황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기도는 국내 제조업체의 35.6%, 종사자의 31.7%가 집중된 지역으로.국가전략기술 관련 R&D 집행 비중도 약 14%(9690억 원)에 달하고, 전국 최대 규모의 전문생산기술연구소(36%)와 기업부설연구소(32%)를 보유하고 있다.
보고서는 전문가 분석과 국가 R&D 투자 특화도를 종합해 ▲반도체·디스플레이(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차세대 센서, 소재·부품·장비)▲인공지능(첨단 모델링, 신뢰·안전 AI, 산업혁신 AI)▲첨단모빌리티(자율주행, 전기·수소차) 등 8대 중점기술을 우선 육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8대 중점기술은 경기도 산업 구조와 밀접히 연계돼 파급력이 크며.반도체·디스플레이는 글로벌 기업 집적과 메가클러스터 시너지로 성과 확산이 기대된다.
AI는 판교의 기업·인재 기반을 통해 산업 혁신을 가속하며.첨단모빌리티는 지역 가치사슬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실증·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분석됐다.
경과원은 경기도가 국가전략기술을 육성하기 위해 ▲중점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지원▲지역기술혁신허브를 기반으로 한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조례 제정 등 제도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인재양성 프로그램,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R&D 투자 확대 등 실행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과원은 앞으로도 국가전략기술 관련 연구를 지속하며 기업과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후속 연구와 연구개발(R&D) 사업 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국가전략기술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 기반으로, 경기도는 산업·혁신 여건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전략기술 육성의 중심지가 될 수 있다"며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와 협력 기반 확충을 통해 경기도의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과원은 매년 산업·경제·신기술 현안을 다루는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이번 보고서는 경과원 홈페이지www.gbs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ssamdor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