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 청산 11억 달러·이더리움서만 4억달러 청산
암호화폐 관련주·채굴주 주가도 급락
시장 주요 지지선 확인하며 달러·유동성에 '촉각'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비트코인 가격이 최근 24시간 거래 동안 한때 10만9000달러 아래로 밀리며 한 달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더리움은 3800달러선까지 떨어졌고, 솔라나는 200달러 밑으로 내려앉았다. 급락 여파로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하루 만에 11억달러(약 1조 5533억원)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되며 투자 심리가 크게 흔들렸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11억달러가 넘는 레버리지 포지션이 정리됐으며 이 중 롱(강세) 포지션이 90%를 차지했다.특히 이더리움 롱 포지션에서만 4억달러 이상이 청산됐고, 비트코인에서는 2억6500만달러가 강제 정리됐다. 하이퍼리퀴드 거래소에서는 2910만달러(410억 9700만원)규모의 ETH-USD 롱 단일 포지션이 청산되며 기록적인 손실 사례가 발생했다.
한국 시간으로 26일 오후 7시 50분 현재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에 비해 2.47% 하락한 10만8931달러, 이더리움은 3.31% 내린 3883달러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XRP, BNB, 솔라나(SOL), 도지(DOGE) 등 주요 알트 코인도 3~4%대 내림세다.
![]() |
비트코인 가격 차트, 자료=야후 파이낸스, 2025.09.26 koinwon@newspim.com |
◆ MSTR 5개월 최저…채굴주 동반 약세
암호화폐 관련주의 주가도 일제히 급락했다.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보유한 마이크로스트래티지(NASDAQ:MSTR)는 장중 한때 10% 급락, 5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비트코인과 동행하는 특성 탓에 연초 이후 누적 수익을 대부분 반납했다.
이더리움을 대거 보유한 비트마인 이머션 테크놀로지스(BMNR), 샤프링크 게이밍(SBET)은 4~8% 하락했고, 채굴업체 마라 홀딩스(MARA), 라이엇 플랫폼즈(RIOT)도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 기술적 지표·계절적 기대
비트코인은 현재 8월 말~9월 초 저점인 10만7000달러선을 시험하고 있다. 하이블록 캐피털 분석에 따르면 이 구간은 매도 압력을 흡수할 수 있는 유동성 지대로, 단기 반등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 코인데스크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10만7000달러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10만4200달러, 이어 9만8900달러가 다음 지지선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계절적 요인에서는 기대감도 남아 있다. 2013년 이후 비트코인의 4분기 평균 수익률은 85%에 달하며, 특히 11월(46%)과 10월(21%)이 강세를 보여왔다. 이더리움 역시 4분기 성과가 양호했지만, 가장 강력한 수익률은 1분기에 집중돼 왔다.
◆ 달러·유동성 변수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 영향을 줄 여러 변수(미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 미 연방정부 셧다운, 지정학적 갈등)들이 있지만 투자자들은 미 달러화의 움직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지수(DXY)는 96.30 부근에서 이중바닥(double bottom)을 형성하며 반등했다. 이 지수가 100.26을 상향 돌파할 경우 104.00까지 상승할 수 있고, 반대로 96을 밑돌면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매크로 인베스터의 라울 팔 창립자는 비트코인이 글로벌 M2(광의통화) 증가와 12주 시차를 두고 동행해왔으나, 지난 7월 중순 이후 이 상관관계가 깨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원인으로 미국 '재무부의 일반계정'(Treasury General Account·TGA) 보강을 꼽았다. 재무부는 7월 이후 약 500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해 시중 현금을 흡수했고, 이 자금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에 개설된 정부 계정에 적립됐다. 이 과정에서 주식·암호화폐 등 위험자산으로 향할 자금이 줄어들며 가격 상승세가 꺾였다는 것이다.
현재 TGA 잔고는 8000억달러에 근접, 최근 수년 사이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달 말이면 계정 보강 작업이 마무리돼 추가적인 유동성 흡수 압력이 사라질 것으로 내다본다. 그렇게 되면 시장 유동성이 정상화되고, 비트코인도 기존의 상승 궤도로 복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향후 관전 포인트
비트코인 선물·옵션 시장에서는 최근 포지션 쏠림이 극심했다. 전체의 97%가 롱 포지션일 정도로 강세 베팅이 집중돼 있었으며, 이는 시장 과열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가격 하락과 함께 대규모 청산이 발생하면서 포지션이 강제 정리됐고, 이러한 급락은 단기 반등 신호로도 읽힐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여전히 하방 위험을 경고한다. 비트코인의 10만7000달러 지지선 방어 여부, 달러 강세 추세, 그리고 글로벌 위험자산의 바로미터인 엔비디아(NVDA) 주가 흐름이 단기 시장 방향을 가를 핵심 변수로 꼽힌다.
LVRG 리서치의 닉 럭은 "시장 전반이 약세지만 자본은 여전히 알트코인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하이퍼리퀴드·애스터 같은 탈중앙화 영구선물 거래소가 주도하는 가운데, 자체 매출 기반이 있는 프로젝트는 차별화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