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특별수사단, 경호처와 지난 16일 이후 4차례 협의
경호처, 자료 제출 적극 협조 입장 고수
임의제출 방식·서버 기간 두고 협의 이어갈 듯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대통령경호처의 협조를 통해 비화폰 서버 확보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9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특별수사단은 경호처와 비화폰 서버 등 자료에 대해 임의제출 방법 등에 대한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협의는 지난 16일 경찰의 대통령실과 한남동 공관촌에 대한 압수수색 이후 4차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특별수사단은 지난 16일 대통령실과 한남동 공관촌 출입구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경호처가 허가하지 않아서 무산됐다. 경호처는 임의제출 방식으로 비화폰 서버를 포함해 자료를 최대한 제출하기로 했다.
임의제출을 요청한 자료에는 비화폰 서버 자료와 대통령집무실 폐쇄회로(CC)TV 녹화자료 등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관련해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은 자료들이 대상이다.
비화폰 서버는 윤 전 대통령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에게 적용된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12·3 비상계엄 사태 직후 관련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로 꼽히고 있다.
특히 경호처에서 이전과 달리 자료 제출에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전날 경찰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전과 달리 경호처가 적극 협조하는 모양새로 차이가 있는 것인지" 묻는 취재진 질문에 "그렇게 보셔도 된다"며 "제출 방법을 어떻게 할지 협의하는 상황이다. 전체적으로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고 말했다.
협의가 잘 이뤄지지 않을 경우 추가 압수수색 가능에 대해서는 "지금 말씀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경찰 특별수사단이 대통령경호처와 비화폰 서버 등 자료 확보를 위해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경호처는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왼쪽)·이광우 경호본부장이 지난달 21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위해 법정으로 향하는 모습. yym58@newspim.com |
이처럼 경호처가 입장을 바꾸게 된 데에는 '강경파'로 분류되는 김 차장의 사의 표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김 차장은 경호처 직원들이 연판장을 돌리며 자신과 이 본부장의 사퇴를 요구하자 지난 15일 긴급 간담회를 소집한 자리에서 "이달 말까지 근무하고 물러나겠다. 남은 기간 직무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호처는 지난 25일 공지를 통해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해 28일자로 대기를 명한 상태다.
비화폰 서버를 확보한다고 해도 향후 재판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제출 방식이나 서버 기간 등을 정하는 데 있어 양 기관의 협의가 중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증거능력에 대한 질문에 "임의제출 받아 압수하는 것은 절차상 문제는 없다"며 "진행 절차상 증거능력이 훼손되지 않도록 구체적으로 제출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적법한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것은 이전과 달리 진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경찰이 확보하려는 비화폰 서버 기간이나 제출 방법 등에서 협의가 길어질 수도 있을 것이며 혐의 입증을 위한 증거능력 보존이 중요한만큼 양 기관이 신중하게 접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