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시장 모니터링으로 전략 차량 개발...현지 소비자 마음 잡기에 열중
[뉴스핌=이성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판매 목표 달성을 위해 국가별 차별화 전략으로 현지 소비자 잡기에 나서고 있다.
18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올해 글로벌 판매 목표는 813만대로, 국가별 차별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시장 모니터링을 통해 현지 소비자들이 원하는 요소들을 차량 개발에 반영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러시아 전략 모델인 솔라리스에 와이퍼 결빙방지 열선 등 혹한에 대비한 장비들을 추가하는 식이다.
현대·기아차는 이러한 전략을 통해 지난해 미국·중국·유럽 지역에서 전년보다 1.8% 증가한 392만1370대를 판매했다. 지역별로는 미국 139만대, 중국 168만대, 유럽 85만대 수준이다.
<자료출처=현대자동차, ACEA> |
우선 현대·기아차는 북미의 유가가 저렴한 것을 고려해 고배기량 차량을 전략적으로 출시한다.
대표적인 모델이 제네시스다. 국내에서 찾아볼 수 없는 5.0ℓ 모델을 판매하고 있다. 대신 3.3ℓ 모델을 제외했다. 쏘나타 역시 2.0ℓ 모델보다는 2.4ℓ 모델의 선호도가 높다.
현대차그룹은 고배기량 차량과 더불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픽업트럭을 출시해 지난해 기록한 전년대비 6.2% 판매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현재 양산 중인 현대·기아차의 픽업트럭은 없지만, 현대차는 지난해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투싼 기반의 픽업트럭 싼타크루즈를 선보였다. 현대차 측은 "싼타크루즈 양산 계획을 면밀히 검토 중에 있다"고 전했다.
현대차 픽업트럭 콘셉트카 싼타크루즈 <사진=현대자동차> |
세계 자동차 시장의 대국인 중국에서는 소형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주력한다. 현대·기아차의 지난해 중국 판매량 168만대 중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랑동(국내명 아반떼MD)이다. 중국 정부의 소형차 구매세 인하 정책에 힘입어 지난해 12월에는 월간 3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아울러 ix25와 KX3 등 중국 전략 SUV는 지난해 45만대 넘게 판매됐다. 이는 전체적으로 중국인들이 배기량은 낮아도 '덩치'가 있어보이는 차량을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중국인들이 큰 차체를 선호하기 때문에 배기량이 낮더라도 내수용보다 볼륨감 있고 화려한 장식을 달아서 판매한다"고 설명했다.
현대·기아차의 지난해 중국 판매량은 중국 경제 악화와 중국 토종 기업들의 저가 전략에 밀려 전년대비 4.9% 감소했다. 현대차그룹은 구매세 인하 정책이 올해까지는 계속될 것으로 보고 지난해 실적 감소를 만회하기 위해 연초에는 보수적 자세를 취하고 하반기 수요에 대비할 계획이다.
현대차 랑동(국내명 아반떼MD) <사진=현대자동차> |
자동차의 본고장 유럽에서는 소형 해치백이나 왜건형 차량을 앞세운다. 지난해 현대·기아차 유럽 판매량은 i20등 해치백 모델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년보다 9.9% 증가했다. 유럽은 북미에 비해 기름값이 비싸 실속을 따지는 소비자가 많다는 게 현대차그룹 측의 분석이다.
현대차는 이에 맞춰 유럽 전략 차종으로 i시리즈를 보강했다. 기존 i30에 현지 특화 차량인 i10과 i20를 추가해 경차에서 준중형으로 이어지는 해치백 라인업을 완성했다. 또 기아차는 프라이드의 수출 모델인 리오에 벤가와 씨드 등 소형 차량을 추가해 유럽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대차 i20 <사진=현대자동차> |
현대차그룹은 이밖에 신흥국 시장을 겨냥한 전략도 펼치고 있다. 인도 시장에는 열악한 도로 환경을 고려해 일반 차량에 비해 차고를 20mm정도 높인 차량을 판매한다. 또 브라질의 경우 브라질의 차량 대부분이 혼합연료를 사용한다는 특성에 맞춰 에탄올과 가솔린을 동시에 사용하는 HB20을 출시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시장별 분석 등을 통해 개발 단계부터 시장 특성을 고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맞춤형 모델 전략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성웅 기자 (lee.seongwo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