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인물] 하루아침에 억만장자, 스타 쑨리 소속사상장 돈방석

기사입력 : 2014년05월15일 17:02

최종수정 : 2014년05월30일 15:37

뛰어난 연기에 투자감각 뛰어난 팔방미인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유명 여배우 쑨리(孫儷)가 소속사 하이룬잉스(海潤影視)의 증시 상장으로 억만장자가 될 것이란 보도가 나오면서 중화권 연예가와 재계의 관심이 동시에 집중되고 있다.

최근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 등 중국매체는 소속사 하이룬잉스 지분 2.6%를 보유한 쑨리가 하이룬잉스의 우회상장 추진으로 연예인 억만장자로 부상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매체는 타 영화 제작사 화이브라더스(華誼兄弟)가 2010년 증시에 상장한 후 1주년이 되는 2011년 화이브라더스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펑샤오강(馮小剛) 감독, 유명 배우 황샤오밍(黃曉明)의 몸값이 억 위안대(1억 위안=약 165억원)로 치솟았다고 소개하면서, 쑨리가 억만장자가 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전했다.

쑨리는 2001년 싱가포르 국영방송국 'MediaCorp'의 중국어 방송 채널인 'Channel8'이 개최한 한 스타발굴 프로그램에 참가, 2위에 입상하면서 연예계에 입문한 것으로 전해진다.

직후 현 소속사인 베이징 하이룬연예매니지먼트 유한공사(하이룬잉스 그룹 산하의 연예매니지먼트사)와 인연을 맺었다.

2003년 쑨리가 출연한 드라마 '옥관음(玉觀音)'이 히트를 치면서 그가 스타덤에 오르는 동시에, 제작사인 하이룬잉스도 유명세를 타며 급성장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쑨리와 하이룬잉스가 수많은 히트작을 만들어내면서 양측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다며, 쑨리의 하이룬잉스 지분 소유 배경을 설명했다. 쑨리는 202만 위안(약 3억원)을 투자해 하이룬잉스 지분 2.6%를 보유하고 있다.

쑨리는 2003년 옥관음을 통해 진잉장(金鷹獎) 여우주연상을 수상한데 이어, 2006년 이연걸과 함께 출연한 '무인 곽원갑'으로 28회 대중영화 백화장(百花獎)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하며 드라마와 영화에서 중국 최고 여배우로 성장했다.

2011년 유명 배우 덩차오(鄧超)와의 극비리 결혼으로 화제의 중심에 섰던 그는 2012년 출산 후 복귀작인 '후궁·견환전(옹정황제의 여인)'이 빅히트를 치면서 2013년 제41회 국제 에미상(The International Emmy Awards)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로 노미네이트 되는 영예를 안았다.

한편 영화제작 상장사 지분 투자는 중국 연예계에서 인기 재테크 수단으로 부상했다. 중국 연예인들은 연예계 활동으로 적지않은 수입을 벌고 있지만, 점점 더 업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주식투자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최근 중국 문화산업 급성장과 함께 연예 엔터테인먼트주가 유망주로 떠오르면서 쑨리와 같이 영화제작사에 투자하는 연예인이 늘고 있다.

2010년 화이브라더스가 상장한 후 펑샤오강 감독을 비롯해 인기 여배우 리빙빙(李冰冰), 황성이(黃聖依) 등 수많은 스타들이 화이브라더스에 투자해 주식 부자가 됐다.

화이브라더스 지분을 가진 유명 배우 중 황샤오밍이 가장 많은 180만주를 보유, 몸값이 억 위안대를 호가하고 있다고 중국 매체는 소개했다.

전문가들은 "연예인들은 광범위한 인맥을 활용해 상장사의 경영 상황을 잘 알고 있어, 일반투자자들 보다 지분 투자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하이룬잉스는 우회상장을 통한 A주 증시 입성을 추진 중이다. 사실 하이룬잉스는 2010년 홍콩 증시 상장을 계획했으나, 당시 홍콩 증시가 부진했던 탓에 상장 계획을 미뤄왔다.

2001년 창립한 하이룬잉스는 중국 최대 드라마·영화 제작사 중 하나로 연간 700여편이 넘는 드라마를 생산하고 있다.

중국 인기작가 하이옌(海岩)의 소설을 드라마로 제작한 '옥관음'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데 이어, '일미양광(一米陽光)', '량검(亮剑)' 등 수많은 히트작을 양산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