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 등 5개 증권사 IMA·발행어음 인가 앞둬
당국, 종투가 인가 확대 의지 높아 환경은 '우호적'
내부 통제 이슈, 제재·사법리스크는 막판 변수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과 키움증권이 각각 종합투자계좌(IMA) 1호, 발행어음 사업자로 지정되면서 후발 증권사들의 인가 여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이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우선 정책 목표로 삼은 만큼 업계 안팎에서 인가 가능성은 높게 점쳐지고 있다. 다만 내부통제 관련 이슈와 사법 리스크는 여전히 불씨로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23일 금융당국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금융위원회로부터 IMA 2호 사업자 지정을 위한 심사를 받고 있다. NH투자증권은 9월 말에 신청서를 접수한 만큼 현재 서류 심사 단계에 있으며 심사 일정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삼성증권, 메리츠증권 4개 증권사도 발행어음 인가 심사를 진행중이다. 이 중 하나증권은 금융감독원 현장 실사를 마쳤고, 신한투자증권은 외부평가위원회(외평위) 절차를 완료하고 실사를 진행 중이다.
![]() |
발행어음 인가는 금융위원회에 신청 접수 이후 우선 외평위 심사를 거쳐야 한다. 외평위 심사 결과가 나오면 금감원 실사와 증권선물위원회 심의를 거쳐 금융위원회가 의결하는 순으로 절차가 이어진다.
일단 인가 최종 심사를 앞두고 금융당국의 정책 의지 등 환경은 우호적이다. 모험자본 시장 공급 확대를 위해 금융당국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인가 확대 의지가 높기 때문이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한국투자·미래에셋·키움증권 임원 간담회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자리에서 서재완 금감원 금융투자 부원장보는 "부동산 중심 비생산적 유동성을 생산적 분야로 전환하는 정부 정책 하에서 IMA‧발행어음 부여, 종투사 지정 확대가 추진되고 있다"며 "종투사가 생산적 금융을 이끄는 핵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최근 불거진 내부 통제 이슈와 금융당국 제재, 사법리스크는 인가를 기다리는 증권사들에게는 부담 요인이다.
NH투자증권의 경우 IB 조직 고위 임원이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로 조사를 받으면서 내부통제 문제가 인가 심사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삼성증권은 금감원 거점점포 검사에 따른 제재 결과가 인가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삼성증권은 '기관경고' 이하 제재를 받으면 결격 사유가 해소될 수 있지만 반대로 징계 수위가 높아지면 인가가 어려워질 수 있다. 메리츠증권 역시 이화전기 신주인수권부사채(BW) 불공정거래 의혹과 관련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점이 변수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인가·지정을 신청한 5개 종투사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심사절차를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IMA 1호 사업자로 지정된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자기자본 300%까지 자금을 조달해 공격적인 사업 확장이 가능하다. 키움증권도 이번 인가로 최대 11조원 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 내년부터 종투사 지정 요건이 강화되기 때문에 올해 이번에 인사를 받지 못하면 인가 시기가 크게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y2ki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