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정권 출범 후 첫 회의
인상 시기 조율이 관건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다카이치 사나에 정권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내주 29~30일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를 현행 0.5%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90%를 차지했다.
다만 12월 회의에서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50%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이 16~22일 사이 49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BOJ의 금리 인상 시점을 29~30일 회의로 본 응답자는 10%에 그쳤다. 이는 9월 조사 당시 가장 많았던 36%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다.
반면 12월 회의에서 인상할 것이라는 응답은 22%에서 49%로 확대됐으며, 내년 1월까지 인상을 예상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98%에 달했다. '조기 금리 인상 재개'가 시장의 컨센서스로 자리잡고 있다는 얘기다.
BOJ 내부에서는 "정책위원들이 이미 금리 인상 방향성에는 의견 일치를 이뤘고, 남은 것은 시기의 문제"라는 말도 나온다.
10월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전망하는 이유로는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 ▲완화적 통화 정책을 중시하는 다카이치 정권의 출범 두 가지를 들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는 21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면서도 "경제 정책의 최종적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BOJ가 정부와 의사소통을 긴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만약 시장의 예상대로 이번 10월 회의에서 인상이 보류된다면, 그 여파로 엔화 약세가 심화되고 전년 대비 약 3%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는 소비자물가(CPI)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SBI신세이은행의 모리 쇼타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정부가 금리 인상을 견제할 경우, 엔화 약세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다카이치 총리가 물가 대책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만큼, BOJ가 금융 완화 강도를 조절하는 범위 내에서의 금리 인상에는 정부가 굳이 이견을 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