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등 SNS에서 사칭 계정 활동하며 피해상담 광고로 이용자 유인
변호사 사칭 후 국가안보센터 연계 빌미로 개인정보·금전 요구
9월 한 달간 상담 17건 접수…일부 실제 금전 피해 확인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이하 방미통위)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최근 '온라인피해365센터'를 사칭한 금전사기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2일 방미통위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틱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온라인피해365센터' 사칭 계정이 피해 상담을 빌미로 개인정보와 금전을 요구하는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사칭 계정은 오픈마켓 거래사기 등 피해를 입은 이용자에게 접근해 상담을 유도한 뒤, 365센터 소속 변호사라며 특정인의 연락처를 안내한다. 이어 1대1 메신저 상담에서 국가안보센터나 국가보안기술센터 연계를 명목으로 거액 송금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 |
사진은 365센터 사칭 계정 사기 수법. [사진=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365센터 측은 "상담 과정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며 "변호사가 직접 상담하거나 메신저를 통해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일도 없다"고 강조했다.
또 "SNS에서 사칭 의심 광고를 발견하면 즉시 해당 계정을 플랫폼 고객센터에 신고하고, 사칭 계정을 통해 상담 메시지를 주고받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365센터에 따르면 지난 9월 한 달 동안 접수된 사칭 관련 상담은 17건으로, 일부 이용자는 실제 금전 피해를 본 뒤 경찰에 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센터는 이 사안을 경찰에 수사의뢰하고, 틱톡에 신고해 해당 계정을 삭제 조치했다. 동시에 카카오 알림톡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피해 주의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이용자는 피해 예방을 위해 SNS 공식 계정 여부(카카오톡 채널 인증마크 등)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금전 피해 발생 시에는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에 증거자료를 첨부해 신고하고, 송금 금융기관에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또한 명의도용 피해를 막기 위해 통신서비스 현황과 계좌·대출 여부를 확인하는 등 추가 보호 조치도 필요하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