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멕시코가 중국에 대해 고율 관세 부과 움직임을 보이자, 중국이 이에 대한 대응 조치로 멕시코에 대한 무역 장벽 조사를 개시했다. 중국과 멕시코의 관세 갈등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중국 상무부는 25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견과류 피칸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으며, 멕시코를 상대로 중국 제품 수입 관세율 인상안과 관련해 무역 장벽 조사를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피칸에 대한 조사 기간은 내년 9월 25일까지 1년이며, 6개월 연장할 수 있다.
멕시코에 대한 무역 장벽 조사는 6개월 안에 종료되어야 하고, 특수한 상황이 있다면 3개월 연장할 수 있다.
상무부는 "멕시코 '국회공보'에 지난 9일 발표된 여러 수입세 조정안에 따라 멕시코 정부는 중국 등 비(非)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의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율을 인상할 계획으로, 이 조치는 중국 기업의 무역 및 투자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며 조사 착수 배경을 설명했다.
상무부는 "멕시코의 일방적 세금 인상 조치가 시행되면 중국 등 무역 파트너의 이익을 해치고 멕시코 내 영업 환경의 확실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기업의 멕시코 투자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릴 것이다. 중국은 이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했다.
멕시코는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준비하고 있다. 중국산 자동차에 대해서는 현재 20%인 관세율을 50%까지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멕시코의 대중국 관세 부과 움직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이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올해 초부터 멕시코 당국에 "미국처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촉구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지난 2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근간으로 한 3국 무역·제조업 유대 강화를 뜻하는 '북미 요새'(Fortress North America) 구축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미국이 최대 교역국인 멕시코에 중국산 제품 유입 차단을 압박하는 배경과 관련해서는 "중국 제품이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우회 유입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 |
중국 상무부 [신화사=뉴스핌 특약]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