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김정은 '트럼프와 대화 의향' 밝힌지 나흘만에 제재 카드
WMD, 미사일 등 무기개발위한 자금 조달 창구 봉쇄 목적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미국이 미얀마 군사정권을 위해 불법으로 무기를 판매해온 북한 정찰총국 요원과 무역일꾼 등 2명을 새로 제재 명단에 올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포기를 전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화에 나설 의향을 내비친지 일주일도 채 안돼 미국이 대북 추가제재 카드를 꺼내 들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25일(현지시간) 미얀마 군사정권에 불법으로 무기를 공급하는데 관여해온 김영주(41)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KOMID) 부대표와 불법으로 벌어들인 외화를 북한 정권에 상납해온 북 정찰총국 소속 남철웅(56) 등 북한인 2명을 추가로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혔다. 이들과 함께 미얀마인 3명과 단체 1곳도 제재 대상에 올랐다.
중국 베이징에서 활동해온 김영주는 북한의 무기 수출회사인 KOMID를 통해 공중 투하 폭탄 유도 장비와 폭탄, 공중 모니터링 장비를 미얀마 공군에 공급하는 등 불법 무기 수출에 관여한 혐의다. 정찰총국 소속 정보관으로 중국 다롄에서 활동해온 남철웅은 2013년부터 라오스와 태국 등 동남아지역에서 북한제 담배 밀수 등을 통해 벌어들인 외화를 세탁한 뒤 북한 정권에 송금해온 혐의다.
![]() |
미국 워싱턴DC 시내의 재무부 건물. [사진=로이터 뉴스핌] |
재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제재 조치가 북한 정권의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 조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KOMID와 정찰총국을 겨냥했다고 밝혔다. 두 곳은 이미 유엔과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올라 있다.
존 헐리 재무부 테러·금융정보담당 차관은 "미국과 동맹국들에 직접적인 위협인 북한의 불법 무기 프로그램을 지탱해온 자금 네트워크를 계속 해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토미 피곳 국무부 수석 부대변인도 성명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인 WMD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을 차단하는 것이 이번 제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이번 추가 대북 제재는 김 위원장이 지난 21일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고 밝힌지 나흘 만에 이뤄졌다. 당시 그는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혀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에 나설 의향을 내비쳤다는 해석이 나왔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