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철도교통관제센터 타당성조사 현지 최종보고회
철도 인프라 재건 기여...K-철도 최신 기술 세계화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국가철도공단이 우크라이나에 한국 철도 기술의 수출 발판을 다졌다.
![]() |
박노민 국가철도공단 해외사업2TF부장(가운데)이 지난 3일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우크라이나 통합 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보고회를 시행하고 있다. [사진=국가철도공단] |
7일 국가철도공단은 우크라이나 통합 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최종보고회를 지난 3일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철도 인프라 재건 사업의 일환으로 현지 관제센터 현황조사, 신호 기술 수준 분석, 사업 수행계획 수립, 사업비 산출, 경제성 분석 등이 시행됐다.
이번 보고회는 국토교통부, 외교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우크라이나 측 영토개발부,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등이 참석했다.
공단은 우크라이나가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국제 물류 허브로 발돋움하기 위한 통합 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의 필요성과 경제적‧기술적 타당성 등을 발표했다. 과거 구로 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 경험과 현재 수행 중인 오송 제2철도교통관제센터 건설 경험을 공유하고, 후속 사업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철도공단은 우크라이나 철도교통관제센터 설립 협력을 위해 2023년 11월 공단-우크라이나 철도공사 간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공단 자체 제도인 'K-철도 해외개발사업'(K-IRD)으로 이번 사업이 선정돼 조사를 수행해 왔다.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우크라이나 통합 철도관제센터 건설사업은 우크라이나 철도 인프라 재건과 현대화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에 발맞춰 한국의 철도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는 등 협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