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한화전서 3회 문현빈의 홈 쇄도 상황에서 포구 실책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LG가 정규리그 우승 확정을 눈앞에 두고도 대전 원정에서 또 발목이 잡혔다. 한화가 안방에서 LG의 우승 축포를 저지하며 끝까지 희망의 불씨를 살렸다.
LG는 지난 27일 대전 원정에서 한화를 9-2로 완파하며 매직넘버를 '1'로 줄여놓았다. 28일 경기가 비로 취소되면서 29일 경기에 모든 시선이 쏠렸고, 염경엽 감독 역시 "하루빨리 순위를 확정 짓는 것이 선수단에도, 나 자신에게도 편하다"라며 조기 우승을 기대했다.
![]() |
[서울=뉴스핌] LG 박동원이 29일 대전 한화전 3회 말 노시환의 안타 때 2루 주자 문현빈의 득점을 허용하고 있다. 최초 판정은 아웃이었지만 비디오 판독으로 원심이 뒤집혔다. [사진 = 티빙] 2025.09.29 wcn05002@newspim.com |
하지만 한화는 호락호락하게 넘어가지 않았다. LG의 발목을 잡은 것은 한화의 신예 정우주였다. 당초 이날 선발투수는 에이스 코디 폰세였으나 우천으로 일정이 밀리며 정우주가 등판했다.
오히려 LG에겐 호재처럼 보였지만 결과는 달랐다. 1회에 29개의 공을 던져 불안했던 정우주는 2, 3회 침착함을 유지하며 3.1이닝 동안 1안타 3삼진 무실점으로 LG 타선을 꽁꽁 묶었다. LG는 1회 오스틴 딘과 김현수가 연속 출루하며 기회를 잡았으나 문성주의 땅볼로 무산됐고, 이후 연속 삼자범퇴를 당하며 정우주를 공략하지 못했다.
올해 한화전에서 유독 강세를 보였던 LG 선발 임찬규도 이날은 힘을 쓰지 못했다. 앞선 네 차례 등판에서 2승 무패 평균자책점 0.62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이날은 5이닝 8안타 3삼진 5실점(4자책)으로 무너졌다. 그 결과 LG는 3-7로 패하며 매직넘버 '1'을 지우지 못한 채 서울로 돌아왔다.
경기 흐름을 바꾼 장면은 3회였다.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한화 문현빈이 2루타로 포문을 열었고, 이어 노시환의 안타 때 홈으로 쇄도했다. 문현빈이 3루 베이스를 돌기 전에 좌익수 문성주가 공을 잡았기에 문현빈이 아웃될 것이 분명했다. 역시나 송구가 홈에 정확히 들어가며 아웃이 확실시됐으나, 포수 박동원이 공을 완벽히 포구하지 못하며 판정은 세이프로 번복됐다. 문현빈의 득점이 인정되며 한화가 3-0으로 달아났고, 경기 분위기 역시 완전히 기울었다.
![]() |
[서울=뉴스핌] 한화 노시환(왼쪽)이 26일 대전 LG전 7회 말 1사 2, 3루에서 한화 하주석의 땅볼 때 LG 포수 박동원의 빈 글러브 태그를 피해 득점하고 있다. [사진 = 한화] 2025.09.26 wcn05002@newspim.com |
문제는 이 장면이 올 시즌 박동원의 실수 패턴을 그대로 반복했다는 점이다. 이번 3연전 첫 경기였던 지난 26일에도 박동원은 홈에서 결정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1사 2, 3루 상황에서 런다운에 걸린 노시환을 태그하는 과정에서 공을 가지고 있는 글러브가 아닌 빈손의 글러브로 태그하며 득점을 허용한 것. 이어진 빅이닝으로 LG는 1-4 역전패를 당했다.
LG 염경엽 감독은 당시 "노시환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플레이였다. 그런 장면이 있기 때문에 한화가 상위권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상대를 치켜세웠지만, 동시에 "조그만 방심이 경기를 어렵게 만든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나 불과 이틀 만에 또 비슷한 상황이 반복됐다.
사실 박동원의 홈 수비 실수는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달 10일 잠실 한화 경기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나왔다. 7회 1사 1, 3루에서 문현빈의 땅볼 때 3루 주자 손아섭이 완벽한 아웃 타이밍으로 홈에 들어왔지만, 박동원의 태그를 피하며 홈을 찍어 점수가 났다. 기록에는 남지 않았지만, 사실상 치명적인 수비 실책이었다.
이로써 박동원은 한화전에서만 세 차례 뼈아픈 실수를 범했다. 공교롭게도 한국시리즈에서 만날 가능성이 있는 팀이 한화이기에 LG로선 불안 요소를 안은 채 대전을 떠날 수밖에 없게 됐다. 염경엽 감독이 "방심은 곧 패배"라고 했지만, 현실에서는 그 경고가 다시 한번 확인된 셈이다.
wcn050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