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35층 5개동·996가구 탈바꿈
공사비 3.3㎡당 770만원 규모
용적률 인센티브 확대·100가구 추가 분양 확보로 분담금 절감 기대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강북 대표 재건축 단지인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가 분담금 논란과 시공사 교체 소동을 끝내고 한화 건설부문을 새 시공사로 선정하며 사업에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 모습. 2025.03.07 chulsoofriend@newspim.com |
2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조합은 이날 총회를 열고 한화 건설부문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1987년 준공된 이 단지는 19개 동, 총 840가구로 37㎡(이하 전용면적) 단일 면적이다. 재건축을 통해 최고 35층, 5개 동, 총 996가구(임대 152가구)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조합이 제시한 공사비는 3772억원으로, 3.3㎡당 770만원 규모다.
2021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시행사로 한국자산신탁을 선정하며 상계동 재건축 단지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했다. 이듬해 11월 시공사 선정에서 GS건설과 손을 잡으며 사업이 일사천리로 진행되나 했지만 분담금이 발목을 잡기 시작했다.
당시 GS건설은 3.3㎡당 약 650만원의 공사비와 4년의 공사 기간을 제안했다. 당시 집행부는 해당 공사비로 사업을 진행해 84㎡를 분양받을 경우 내야 하는 분담금이 5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했다. 용적률은 93%로 낮지만 대지지분이 적어 임대주택과 조합원 가구(832가구)를 제외하면 일반분양 물량이 채 10가구가 되지 않아 일반분양 수익으로 분담금을 메꾸기 어려운 구조라서다.
결국 GS건설과 결별, 현재 GS건설은 소유주들의 일방적 파기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6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이 진행되고 있다. 일시정지된 재건축이 다시 동력을 찾은 건 지난해 9월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으면서다. 서울시는 '사업성 보정계수'를 도입해 10~20% 수준이었던 '허용용적률 인센티브 범위'를 20~40%까지 늘려 일반분양 물량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소유주들은 약 100가구의 추가 분양 물량을 확보해 1가구당 9000만원가량의 분담금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합은 올 4월 시공사 재선정을 진행했다. 1차 입찰 당시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던 현대엔지니어링과 한화 건설부문이 모두 참여를 거절하면서 유찰됐다. 지난달 한화 건설부문이 단독 입찰하면서 수의계약에 한 발짝 가까워졌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