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회사에서 건자재 업체, 1년 만
QXO, 북미 지붕재 시장 20% 장악
'난립의 황금어장' 노리는 제이콥스
3전3승 이력, 제이콥스의 성공 공식
이 기사는 9월 17일 오후 4시42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테이크오버(인수) 제왕' 브래드 제이콥스가 이끄는 미국의 건자재 유통업체 QXO(종목코드 동일)를 둘러싸고 월가의 강세론이 한껏 고조되고 있다.
분산된 시장에서 소위 '규모의 경제'가 강하게 작동하는 업종만 골라 잇단 M&A(인수·합병)을 통해 경영 성과와 주가를 크게 끌어올린 그의 성공 방정식이 QXO에서도 작동 중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난립의 황금어장
최근 건자재 유통사 GMS를 놓고 홈디포(HD)와 인수전을 치러 인지도가 높아진 QXO는 불과 1년여 전 만해도 아예 다른 업종의 기업이었다. 원래 사명은 실버선테크놀로지스로 중소기업 대상 ERP 시스템 구축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었다.
![]() |
QXO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QXO] |
사명이 QXO로 바뀐 시점은 작년 6월6일이다. 제이콥스가 재작년 12월 10억달러 지분투자 계획(제이콥스 9억달러)을 발표하고 관련 투자가 완료돼 지배주주가 된 동시에 사명을 변경하면서 회장겸 최고경영자(CEO)에 취임했다. 전신이 되는 실버런은 QXO에 그대로 있되 주력 사업은 아닌 셈이 됐다.
제이콥스의 실버런 경영권 확보는 건자재 유통업에서 자신의 성공 서사를 쓰겠노라며 1년 간의 철저한 조사 끝에 내린 결정이다. 산업 규모가 8000억달러로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북미에만 7000개, 유럽에 1만3000개 업체가 난립한 극도로 파편화된 시장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관련 업계의 전자상거래 비중이 한 자릿수 퍼센티지에 불과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2030년까지 3배 성장이 가능하다고 본 게 결정적이었다. 그가 과거 이끈 유나이티드웨이스트(폐기물 처리; 창업), 유나이티드렌탈스(장비 대여; 창업), XPO로지스틱스(물류; 인수 후 사명 변경) 모두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 |
QXO 주가 최근 1년 추이 [자료=코이핀] |
QXO가 건자재 유통업체의 외형을 갖추게 된 건 올해 4월29일 완료한 지붕·외장재 업체인 비콘루핑서플라이 인수(약 110억달러)를 통해서다. 비콘은 인수 전 연간 매출액 97억6000만달러의 대형사였다. 사실상 '빈 그릇'이었던 QXO에 대해 옛 비콘이라는 말을 써도 무방한 셈이다.
비콘 인수를 통해 단숨에 600개 지점과 8000명 인력을 확보하게 된 QXO는 현재 북미 지붕자재 시장에서 20% 초과의 점유율(S&P글로벌 추산)을 갖춘 업체가 됐다. 지역·고객형 밀착 서비스가 정착돼 극도로 분산된 시장에서 상위 업체로 도약,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발판을 확보했다.
◆3전3승 이력
월가에서는 '파편화된 시장 진입→적극적 M&A→밀도 높은 네트워크 구축→기술 도입→규모의 경제 실현→가치 극대화'로 특징지어지는 제이콥스의 검증된 성공 공식이 QXO에서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는 과거 기업을 모두 업계에서 다섯손가락 안에 꼽히는 업체로 육성했다.
그의 이력에서는 주가 상승률을 주식시장의 배 단위로 뛰어넘긴 성과가 보인다. 유나이티드웨이스트(1989~1997년, 북미 5위 업체로 육성)을 예로 들면 1992년 기업공개(IPO)를 한 뒤 1997년 매각까지 주가의 연평균 상승률은 55%로 같은 기간 S&P500의 5.6배였다.
![]() |
QXO의 브래드 제이콥스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소개 화면 갈무리 [사진=QXO] |
또 유나이티드텐탈스(1997~2007년, 1위 업체로 육성)는 재임 10년 동안 주가 상승률이 S&P500 대비 2.2배였다. XPO에서는 스핀오프 직전 당시 2021년 말 기준 3년 동안의 토털리턴(TR)이 138%으로 상당했다. 5년은 214%였다.
관련 성과 모두 그의 성공 방정식을 따른 결과다. 유나이티드웨이스트에서는 지역 영세 폐기물 업체들을 인수해 매립지와 수거 루트를 독점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시장 지배력 확보를 통해 트럭 운행 거리가 줄고 고정비가 분산돼 수익성이 급격히 개선되는 구조를 만들었다.
유나이티드렌탈스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250여곳의 소규모 장비 임대업체를 인수해 9개월 만에 북미 1위 업체의 결과를 냈다. XPO에서는 전략이 한층 진화해 대형 기업을 인수하면서도 동시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로 최적화 가격 책정 알고리즘을 도입했다.
◆"혁신 아니어도 좋다"
QXO에 대한 투자는 '혁신'이라기 보다는 '규모 확대 실행력'에 베팅하는 쪽에 가깝다. 테슬라나 엔비디아처럼 기술 혁신의 스토리가 있는 회사와 다르게 사실상 오직 '얼마나 큰 덩치를 만드느냐'가 중요한 회사라는 의미다.
단순 확장이 주력 모델인 사업임에도 QXO에 대한 우호적인 시각이 형성되는 것은 실행을 위한 로드맵이 명확하고, 또 이같은 기계적인 프로세스가 오히려 예측가능성을 더해주기 때문이다. 이미 검증된 경로인 만큼 기대효과의 측정 부담은 크게 준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