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수출로 막대한 달러 벌어들여
투자 통해 AI·첨단 기술 지분 확보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올 여름 이란이 카타르 내 미군 공군 기지를 미사일로 타격했을 때 수 년간 중동 지역에서 미국 자산을 겨냥한 가장 직접적인 공격이었다.
도하 상공에서 미사일이 격추된 지 불과 몇 시간 사이에 카타르의 수도 겸 금융 허브에서는 평상시와 다름 없는 일상이 이어졌다.
인근 아부다비에서도 투자가 예정대로 진행됐고, 두바이 은행가들은 아랍에미리트가 거대한 파장을 피해갈 것으로 자신했다. 공격 후 몇 주가 지난 시점에 블룸버그는 블랙록과 일론 머스크의 xAI를 포함한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거래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탄도 미사일이 중동에 대한 비즈니스 커뮤니티의 신뢰를 흔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보도했다. 낮은 세율과 5조달러를 넘어선 국부펀드 및 가문 자본의 성장을 앞세워 중동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돌파했고, 글로벌 기업들은 중동 자본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지난해 사우디로부터 50억달러 투자 약정을 확보했다. 몇 달 뒤 브룩필드 자산운용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은 세계 최대 사립교육 업체 중 하나인 두바이 기반 젬스 에듀케이션에 투자했다.
![]() |
지구촌 곳곳에 파고든 중동 자본 [자료=블룸버그] |
금융권도 중동 지역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움직임이다. KKR은 최근 데이비드 페트레이어스 미 육군 예비역 장군을 중동 사업부 회장으로 임명하고 현지 투자 팀을 구성하고 있다.
사실 수 년 전부터 해외 투자자들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상황과 무관하게 투자와 비즈니스를 추진했다. 지난 10년간 예멘의 후티 반군은 사우디를 미사일과 드론으로 공격했고, 여기에는 2019년 글로벌 석유시장을 뒤흔들었던 석유 시설 타격도 포함된다.
![]() |
[람야 로이터=뉴스핌] 최원진 기자= 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국경과 인접한 레바논 남부 지역 람야에서 바라본 이스라엘군이 쏜 조명탄.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이슬람 무장정파 하마스와 연대하는 레바논 헤즈볼라가 이날 자국을 겨냥한 대전차 공격이 있었다며 이에 대한 반격으로 레바논 남부에 공습을 개시했다. 2023.10.12 wonjc6@newspim.com |
3년 전에는 이란의 지원을 받는 단체가 아부다비 인근에서 폭발과 치명적인 화제를 일으킨 드론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
다국적 기업들과 월가의 은행 및 헤지펀드, 그 밖에 세계 부유층들이 중동에서 새로운 딜을 성사시켰고,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 2년간 이스라엘의 가자 전쟁으로 역내 분쟁이 격화된 사이 오히려 가속화됐다.
지구촌 다른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중동 지역에 호재로 작용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후 러시아 부유층들이 루블화에 집중된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추구하며 두바이 부동산을 대거 매입했고, 이 때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 차례 급등한 부동산 가격이 또 한 차례 치솟았다.
보험 중개 및 자문회사 WTW의 파밀라 톰슨-홀 국제 사업 최고경영자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지정학적 위기 상황에도 중동의 비즈니스는 견고하다"며 "사우디에서 새로운 보험 및 재보험 사업을 개시했고, 아랍에미리트는 글로벌 성장 목표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올해 상반기 두바이 금융지구의 사업자 등록이 32% 증가,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는데 헤지펀드 업체들의 러시가 한 몫 했다. 아부다비 금융센터의 메인 아일랜드에는 2만9000명이 고용돼 있고, 이들 중 상당수가 여기 기반을 둔 144개 펀드 및 자산운용사에서 근무한다.
리야드에서는 골드만 삭스 그룹을 포함한 다수의 대형 투자은행들이 지역 본부 라이선스를 취득하기 위해 줄을 지었고, 도하 관료들은 도시를 차세대 중동 금융 중심지로 구축하기 위해 월가 기업들에게 각종 '당근'을 제시하고 있다.
중동이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과 금융회사에 투자 자본의 공급원으로 부상한 데는 석유를 통해 국내에서 소비하는 것보다 수 십억 달러 더 많은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남는 자금을 투자할 곳을 찾아야 하는 입장이라는 얘기다.
투자 이면에는 석유를 포함한 화석 연료 시장보다 영속 가능한 인공지능(AI)이나 그 밖에 금융과 첨단 산업에 지분을 확보하려는 속내가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글로벌 기업들의 중동 투자도 활발하다. 운용 자산 규모 1조달러를 웃도는 블랙스톤의 스티븐 슈워츠먼 최고경영자는 걸프 지역이 자본 조달 창구를 넘어 투자 목적지로 부상했다고 말한다.
전통적으로 현지 기업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지만 국제 허브로 성장하면서 매력적인 기회로 인식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