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경제 전반에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견고한 거시 성장 환경과 AI 로봇을 비롯한 첨단 혁신 분야가 부족한 성장 동력을 보충해 목표 성장률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12일 전했다.
중국 경제는 7월 전년동기 대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0%에 그치는 등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전년동기비 마이너스 3.6%를 기록, 침체 우려를 가중시켰다.
인민일보는 이런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고유의 강점에 기초해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성장 추세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전문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인민일보는 상하이재경대학교 류위안춘 총장을 인용, 대외수요 변동에도 불구하고 수출 회복력과 견조한 소비, 투자 안정성이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을 뒷바침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년 상반기 중국 수출은 7.2% 증가했고 특히 주요 산업가운데 산업용 로봇 수출이 61.5% 증가했다.
같은기간 소매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최종소비가 성장에 기여한 비율은 52%로 높아졌다. 일련의 소비 진작책으로 하반기에는 소비시장이 더 활성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5.08.12 chk@newspim.com |
상반기 중국 국가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대비 2.8% 증가했다. 제조업 투자는 같은 기간 7.5%나 증가해 전체 투자 증가율을 견인했다.
이런 성과 덕분에 중국은 상반기 국무원이 양회에서 제시한 5%내외의 성장 목표에 부합하는 5.3%의 GDP 성장률을 달성했다.
인민일보는 이런 성장의 원동력 외에도 인간형 로봇의 급속한 발전 등 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이 성장 동력을 뒷바침하는 강점으로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마라톤 복싱 힙합 댄스 서예 쓰기와 사람과의 수다는 물론 자율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갖춘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로봇 산업은 일상속에서 빠르게 실용화되면서 중국 경제의 성장을 돕고 있다.
인민일보는 8일~12일 베이징서 열린 2025 세계로봇대회를 언급, 중국 유비테크(UBTECH) AI 로봇은 두뇌 공유, 군집 지능, 분업화, 자율 배터리 교체 및 무정전 전원 공급에 이르기까지 놀라운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은 5만 2000면의 AI 연구 기술자를 보유하고 있다. 2024년 현재 중국은 로봇 특허 출원에서 세계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인민일보는 2억 명이 넘는 숙련된 인력과 6000만 명이 넘는 고숙련 인력이 산업 변혁과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2025.08.12 chk@newspim.com |
중국은 정규직 R&D 인력 규모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세계 고급 과학기술 인재의 28%를 차지하고 있고,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전공 졸업생 수가 매년 500만 명을 넘고 있다.
애플 CEO 팀 쿡은 중국의 이런 과학 기술 인재 풀과 관련해 "중국에서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며 중국 시장을 낙관한다고 밝혔다.
중국의 신에너지차 생산 및 판매는 10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2025년 상반기 생산량과 판매량 모두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인민일보는 중국 성라이윈(昌來雲) 국가통계국 부국장을 인용, "내수와 혁신을 위주로 새로운 성장 패턴이 형성되고 있다"며 과학기술 진보의 기여도가 60%를 넘었다고 밝혔다.
혁신 주도 성장 발전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화할 전망이다. 2024년 중국의 총 연구개발(R&D) 투자액은 3조 6천억 위안으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중국에는 현재 46만 개가 넘는 첨단기술 기업과 60만 개가 넘는 기술 기반 혁신 중소기업이 등록돼 있다. 핵심 디지털 경제 산업의 부가가치가 GDP의 약 10%를 차지하는 중국은 글로벌 제조 중심지에서 글로벌 혁신 중심지로 변신중이다.
산업 전반의 과기 혁신과 디지털 경제의 팽창에 힘입어 중국은 내년 시작되는 15차 5개년 계획(2026년~2030년) 5년 동안 선진국의 문턱으로 또 한발짝 성큼 다가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