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미국·북미

미국 국방부 부장관에 캐슬린 힉스 전 국방 수석부차관 낙점

기사입력 : 2020년12월31일 08:23

최종수정 : 2020년12월31일 08:23

미국 최초의 여성 '펜타곤 넘버 2' 예약
중국 견제 '아시아 피봇' 정책 관여 경력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국방부 부장관직에 전직 국방 수석부차관을 지낸 여성을 지명했다.

캐슬린 힉스 국방부 부장관 지명자. [사진=바이든 인수위]

3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인수위원회는 캐슬린 힉스 전 국방부 수석부차관이 국방부 부장관으로 낙점됐다고 전했다.

힉스 지명자는 현재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 부소장과 국제안보프로그램 국장을 겸임하고 있다. 그는 바이든 인수위의 국방부 담당 기관검토팀 팀장이기도 하다.

그가 상원 인준을 거쳐 최종 임명되면, 그는 미국 최초의 여성 '펜타곤 넘버 2'(국방부 2인자)가 된다. 

힉스 현 CSIS 부소장이 국방 부장관직에 지명된 배경에 대해 여러 의견이 나뉜다. 우선 국방장관직에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이라크 주둔 미군을 통솔한 경험이 있는 로이드 오스틴 전 중부 사령관을 낙점했는데, 임명되면 그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국방장관이 된다.

국방장관직에는 본래 미셸 플러노이 전 국방차관이 유력후보로 거론됐었다. 미 최초의 여성 국방장관 탄생이란 기대를 꺾은 대신 부장관직에 여성을 앉히려는 게 아니냐란 설명이다.

또 다른 이유는 힉스 지명자의 풍부한 대(對)중국 안보정책 경험에 있다. 오스틴 장관 지명자는 중동과 유럽에서의 국방 경험은 풍부하지만, 차기 바이든 행정부가 마주할 최대 안보 도전들인 중국, 북한 등에 대한 경험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었다. 힉스 지명자는 중국 견제를 위한 오바마 행정부의 '아시아 중심'(Asia Pivot) 정책 업무를 한 이력이 있다.

로이터는 바이든 당선인이 다음 달 20일에 취임하면 "폭넓은 외교정책과 국가안보 도전들과 마주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 이란, 북한, 코로나19 대유행을 언급했다. 

무엇보다도 가장 도전이 될 일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America First) 어젠다로 틀어진 미국의 군사·외교 동맹국들과의 관계 재건이 될 전망이다.

 

wonjc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2025-07-27 09:41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