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 핫!이슈] 미국 다음 '타깃'은 알리바바?, 대형 유니콘 '베이커' 미 상장 첫날 주가 폭등, 끝나지 않는 '당당왕' 이혼 전쟁

기사입력 : 2020년08월14일 16:36

최종수정 : 2020년08월14일 16:36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8월 10일~8월 14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신화사 = 뉴스핌 특약] 마윈(馬雲) 알리바바 창업자의 모습.

◆ 알리바바 '틱톡∙웨이신'에 이은 미중 갈등 희생양 되나

미국의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를 통한 '중국 옥죄기'가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화웨이(繼華), 틱톡 (TikTok), 웨이신(微信∙위챗)을 잇는 다음 제재 대상은 알리바바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와 주목된다.

중국 관영 매체 환구망(環球網) 등 현지 언론들은 미국 CNN의 보도를 인용해 "알리바바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다음 목표물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매체들에 따르면 CNN은 "알리바바는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ByteDance)나 화웨이처럼 서방 시장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중국을 대표하는 과학기술 선두 기업이라는 점에서 미국이 다음 타깃으로 삼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미국과 일본 등 100여개 국에 1800만 개가 넘는 마스크와 진단키트 등의 의료용품을 지원한 마윈(馬雲) 알리바바 창업자를 '나의 친구'라고 지칭했었다.

이와 관련해 CNN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자국 내 IT 시장에서 신뢰할 수 없는 중국 기술 기업을 퇴출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알리바바를 언급한 바 있는 만큼, (알리바바 제재 결정은) 미국 당국자들의 마음에 달려있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와 위챗을 운영하는 텐센트와의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중국의 온라인 부동산 거래서비스 업체 베이커자오팡(貝殼找房∙KE 홀딩스)은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첫날 미 주식예탁증서(ADR) 공모가(20달러)보다 17.44달러(87.20%) 상승한 37.44 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초대형 유니콘 '베이커', 미국 상장 첫날 주가 폭등

최근 미국 증권 당국이 자국의 회계 기준을 따르지 않는 중국 기업에 대한 미국 증시 퇴출 방침을 밝히며 압박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대표 유니콘이 미국 증시에 성공적으로 입성했다.

14일 중국 신랑재경(新浪財經) 등 현재 매체에 따르면 중국의 온라인 부동산 거래서비스 업체 베이커자오팡(貝殼找房∙KE 홀딩스)은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첫날 미 주식예탁증서(ADR) 공모가(20달러)보다 17.44달러(87.20%) 상승한 37.44 달러에 거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시가총액은 422억 달러에 달했다.

이날 'BEKE'라는 종목코드로 상장한 베이커자오팡은 1억600만 주의 ADR을 발행했고, 21억200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는 2018년 3월 29일 나스닥에 상장한 아이치이(愛奇藝) 이후 미국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으로서 거둬들인 최대 자금 조달 규모다.

지난 2017년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베이커자오팡은 초고속 성장을 통해 2년여 만에 중국을 대표하는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으로 거듭났다. 중국 양대 인터넷 거물 기업인 알리바바(阿裏巴巴)와 텐센트(騰訊)를 비롯해 미국의 유명 유명 벤처캐피탈(VC)인 세쿼이어캐피탈과 중국 힐하우스 캐피탈 등 쟁쟁한 그룹의 투자를 받고 있다.

베이커자오팡이 제출한 IPO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 규모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반면, 실적 측면에서는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2017부터 2019년까지 각각 5억3800만 위안, 4억2800만 위안, 21억8000만 위안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순손실액은 12억3000만 위안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손실액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에 상장을 위한 실적 조건이 홍콩이나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까다롭지 않은 미국 시장 상장을 통해 자금조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증권 당국의 중국 기업에 대한 압박이 강화되고 있음에도, 중국 기업의 미국 상장은 지속되는 분위기다.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샤오펑모터스(小鵬汽車)와 중국평안(中國平安)그룹 산하의 중국 최대 P2P(개인간) 대출 플랫폼인 루진숴(陸金所,lufax∙루팍스) 등의 기업이 미국 상장을 앞두고 있다.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이혼 소송을 벌이고 있는 위위(俞渝) 당당왕 회장(좌)과 리궈칭(李國慶) 전 회장의 모습을 표현한 그림.

◆ 끝나지 않는 '중국판 아마존' 당당왕 부부의 이혼 전쟁  

지난 4월 중국 현지 언론을 뜨겁게 달군 중국 대표 온라인 서점 '당당왕(當當網)' 창업자 부부의 진흙탕 싸움이 끝나지 않는 모양새다.

14일 텅쉰왕(騰訊網)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최근 당당왕 창업자인 위위(俞渝) 회장은 남편이자 공동 창업자인 리궈칭(李國慶) 전 회장의 살해 위협에 두려움을 느끼고 둥청(東城) 법원에 2차 신변보호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위는 공개서한을 통해 "리 전 회장이 12일 재판 중 '또 판결이 나지 않으면, 죽여버리겠다!'면서 자신을 살해 협박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리 전 회장은 '중국판 트위터'로 불리는 웨이보에 올라온 '장쑤(江蘇)성의 한 남성이 법원 앞에서 이혼 소송 중인 부인을 칼로 찔렀다'는 기사에 '좋아요'를 누르는가 하면, '항저우(杭州)시의 한 남성, 아내 살해 후 토막 내'라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하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고 위 회장은 전했다.

위 회장은 "수많은 일을 겪으면서 리궈칭의 폭력적 성향을 확실히 알게 됐다"면서 "그의 폭력적 성향은 앞서서도 자주 포착됐었고, 또 해를 가할까 두렵다. 비극적인 일을 당하고 싶지 않다"는 심경을 밝혔다.

앞서 중국 현지 매체에서는 리 전 회장이 수행요원 여럿과 함께 회사를 찾아가 인감도장 47개를 몰래 가지고 나온 사건이 회자되기도 했다.

당시 리 회장은 "도장을 훔치기 며칠 전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새 이사회를 꾸렸고, 그 결과 위 현 회장 대신 자신이 회장으로 다시 선출됐다고 밝히면서, 당당왕이 도장을 사용하려면 자신과 연락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