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몸값 수백억 여성주식재벌 중국증시에 쫙~

기사입력 : 2015년03월10일 17:44

최종수정 : 2015년03월11일 13:42

차스닥 활황속에 수백명 신데렐라 탄생 이어져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차스닥 지수가 치솟으면서 중국 A증시에 몸값이 억 위안(1억 위안=한화 약 179억원)대가 넘는 여성 주식 부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국 여성 주식부호는 대부분 차스닥(창업판 IT기술벤처)과 중소판(중국 중소기업 전용증시) 상장 민영 기업 대주주들로 특히 최근 2개월새  차스닥지수가 40%넘게(600포인트) 폭등하면서  그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A증시 여성 주식부자 1위는 허차오뉘 둥팡원림 회장

올해들어 A증시가 급등락 조정장세를 지속하는 반면, 차스닥은 사상 최초로 2000선을 돌파하며 활황을 보이고 있다. 이에 힘입어 차스닥 상장사 주주들의 몸값도 치솟고 있다. 특히 여성 주식부자가 급증해 눈길을 끈다.

중국 증권정보업체 퉁화순(同花順)에 따르면, 상하이와 선전의 2600여개 상장사 중 여성 주주가 있는 상장사는 1200여개사로 여성 주주는 총 1365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5일 기준, 보유 주식 가치가 1000만 위안(약 17억8600만원)을 넘는 여성 주식부자는 655명, 억 위안대가 넘는 여성 주식부자는 255명이었다. 10억 위안(약 1786억원)대 여성 주식부호는 56명, 100억 위안(약 1조7860억원)대 여성 주식부호는 단 1명이었다.

허차오뉘(何巧女) 둥팡원림(東方園林) 회장.[출처=시나재경(新浪財經)]
중국 최고 여성 주식부자는 둥팡원림(東方園林 002310)의 실제 지배주주인 허차오뉘(何巧女) 회장이다. 허 회장은 동방원림 지분 4억8200만주를 보유, 지분율이 48.44%에 달한다. 5일 둥팡원림 종가 21.39위안으로 계산하면, 허 회장이 보유한 주식가치는 약 104억5000만 위안(약 1조8700억원)에 이른다.

둥팡원림은 도시 계획과 디자인 사업을 하고 있는 도시경관 디자인 전문업체다. A증시에서 생태환경 산업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다.

허 회장에 이어 제약업체 하이쓰커(海思科 002653) 이사 겸 부총리인 판수롄(范秀蓮)이 2위로, 그는 65억5000만 위안(약 1조1800억원) 상당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3위는 화학공업 업체 롄화커지(聯化科技 002250)의 지배주주이자 회장인 머우진샹(牟金香)이다. 머우 회장이 소유한 주식가치는 52억 위안(약 93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주가가 5배 넘게 오른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인즈제(銀之傑 300085)의 장쉐쥔(張學君), 허예(何曄) 이사도 각각 46억 위안, 40억 위안 상당의 주식을 소유, A증시 여성 주식부자 5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여성 주식부자의 상당수는 중소판 또는 차스닥에 상장한 민영기업에서 고위직을 맡고 있다.

몸값이 10억 위안대가 넘는 여성 주식부자 56명을 배출한 55개 상장사 중, 메인보드 상장기업 7개사를 제외하고 중소판과 차스닥 상장사가 각각 28개, 20개사였다. 이 55개 상장사는 모두 민영기업이다.

또한 이들 여성 주식부자 56인 가운데, 이링약업(以嶺藥業 002603)에서 핵심기술자 직책을 맡고 있는 톈수옌(田書彥)을 제외한 나머지 55인은 그룹 이사, 고위임원 등을 맡고 있다.

◆란쓰커지 차스닥 상장, A증시 최고 여성 주식부자 교체 예고

저우췬페이(周群飛) 란쓰커지(藍思科技) 회장.[출처=시나재경(新浪財經)]
한편, A증시에서 '애플 테마주'로 주목받는 란쓰커지(藍思科技 300433)가 차스닥에 상장하면 A증시 최고 여성 주식부자가 뒤바뀔 전망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란쓰커지는 10일 선전 차스닥 신주발행에 나선다. 이 업체는 애플에 핸드폰 커버유리를 공급하고 있다. 2014년 영업수입이 100억 위안(약 1조7700억원)을 초과, 순이익이 11억 위안(약 1940억원)에 달했다. 

이 업체 순이익 규모는 지난해 차스닥 상장 종목 중 순이익이 가장 높았던 화이브라더스(華誼兄弟 300027)를 뛰어넘는다. 화이브라더스가 지난해 달성한 순이익은 9억 위안(약 1590억원) 미만인 것으로 전해진다.
 
일부 증권사는 란쓰커지가 증시에 상장하면 시가총액이 최소 377억 위안(약 6조7400억원), 심지어 500억 위안(약 8조9400억원) 돌파도 무리 없을 것으로 예상, 란쓰커지의 지배주주인 저우췬페이(周群飛)의 몸값이 400억 위안(약 7조155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했다. 이렇게 되면 허차오뉘 둥팡원림 회장을 제치고 저우췬페이 회장이 A증시 최고 여성 주식부자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현재 저우췬페이와 그의 남편 정쥔룽(鄭俊龍)이 직간접적으로 보유한 란쓰커지 지분은 99.09%에 이른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사진
명동성당 프란치스코 교황 애도 물결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한 가운데, 국내 명동대성당에 공식 조문을 위한 분향소가 마련됐다. 조문을 하러 온 천주교 신자들은 애통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며 명복을 빌었다.  22일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가 마련됐으며 이날 오후 3시부터 일반 조문이 진행됐다. 여기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조문을 다녀갔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2일 오후 지난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서 조문객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2025.04.22 pangbin@newspim.com 이날 공식 분향소에는 염수정 추기경, 정순택 대주교, 구요비 주교, 이경상 주교를 비롯한 주교단 조문 이후 일반인들의 조문이 시작됐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공식 분향소를 찾아 분향하고 "제266대 故프란치스코 교황은 천주교회와 전 세계 신자들에게 깊은 영적 가르침과 믿음의 유산을 남기셨다"면서 "늘 겸손하고 소탈하신 모습으로 가난한 이들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신 故프란치스코 교황께 깊은 감사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천주교 신자인 유인촌 장관도 오후 3시 20분께 조문했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염수정 추기경, 정순택 대주교 등 서울대교구 주교단이 22일 서울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마련된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5.04.22 photo@newspim.com 적지 않은 비가 내리는 평일 낮 시간임에도 공식 분향소에는 천주교 신자들의 조문이 조용히 이어졌다. 번잡하거나 사람이 북적이지는 않았지만, 차분한 표정으로 분향소를 향하는 조문객들의 발걸음이 분주했다. 검은 복장으로 공식 분향소를 찾은 박 씨(70대, 여)는 "(교황의) 선종 소식을 듣고 마음이 아팠다. 좋은 곳으로 가셔서 이제는 평안하시길 빈다"고 애도했다. 신앙을 함께하는 이들과 동행한 그는 "예수님을 먼저 뵙고 조문하려고 한다"면서 예배당으로 들어갔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2일 오후 지난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에서 조문객들이 추모를 위해 줄을 서고 있다. 2025.04.22 pangbin@newspim.com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제266대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한 가운데, 22일 서울 중구 명동성당 영성센터 건물 외벽에 교황의 사진이 걸려있다. 2025.04.22 yym58@newspim.com 또 다른 천주교 신자 김 씨(60대, 여)는 "이렇게 빨리 가실 지 몰랐다. 제겐 비보로 다가왔다. 불과 며칠 전에 공식석상에서 말씀하셨던 모습을 기억한다"면서 "그분 말씀을 하니 마음이 또 뭉클하다. 항상 가난한 이들을 돌보셨던 훌륭한 분이다. 부활절 다음날 돌아가신 게 분명 좋은 곳으로 가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서울대교구 측에 따르면 이날부터 언제까지 조문을 받을 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향후 교황청에서 장례 일정을 정하면 그에 따라 조문 절차를 운영할 예정이다.  jyyang@newspim.com 2025-04-22 16:4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