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中 상장기업, 문화 연예 오락가에서 '먹거리 쇼핑'

기사입력 : 2014년04월22일 17:40

최종수정 : 2014년06월20일 15:53

신수종 사업 찾아 이업종 경쟁 진출

[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 상장회사들이 인수합병(M&A)과 지분참여 등을 통해 호황 산업인 문화·연예 오락 사업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기업들의 이런  이업종 진출 움직임은 수요 감소등 업황 변화로 기존 주력 사업 수익력이 약화됨에 따라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에 따르면, 2014년 1월부터 현재까지 A주 상장 영화관련 기업의 인수합병은 20건, 거래 규모는 200억 위안에 달했다.  특히 올해에는 문화 기업 간의 인수합병 외에, 외식업·제조업 등 비(非)문화 산업 기업의 문화 기업 인수가 크게 늘어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중국 고급 음식점의 대명사였던 샹어칭(湘鄂情)은 정부의 삼공경비(三公經費, 공무접대·해외출장·관용차) 제한 이후 매출이 급감하자 미디어 그룹인 디뉘잉스(笛女影視)와 중스잉스(中視影視)의 지분 51%를 각각 인수했다. 

폭죽회사인 슝마오옌화(熊貓煙花)도 공기오염을 이유로 정부가 폭죽구매를 제한한 후 미디어 그룹 화하이스다이(華海時代)를 인수했다. 전자기기 제조업체인 허성신차이(禾盛新材)는 수요감소로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미디어 그룹 진잉마잉스(金英馬影視)의 지분 26.5%를 인수했다.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발전 정책이 이어지고, 영화 등 문화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관련 산업으로 시중의 자금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국무원은 문화산업의 발전과 문화상품 수출 확대를 위해 '국가 문화수출 중점기업 목록'과 '국가 문화수출 항목 중점 목록'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현재 364개 기업이 2013~2014 국가 문화수출 중점 기업으로 지정됐고, 이 가운데는 화이브라더스(華誼兄弟)·화처잉스(華策影視)·스다이출판(時代出版)·중난미디어(中南傳媒)·중칭바오(中青寶) 등 A주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 기업이 다수 포함돼있다.

중국인의 문화소비 수요 확대도 시장 성장의 동력이 되고 있다. 2002년 9억 5000만 위안이던 중국 전역의 영화표 판매수익은 2013년 217억 6900만 위안으로 20배 이상 늘었고, 중국산 드라마 거래 총액도 2008년 43억 위안에서 2013년 59억 위안으로 증가했다.

중국 미디어 그룹의 매출도 크게 늘었다. 중국 최대 엔터테인먼트 업체인 화이브라더스(화이슝디)의 지난해 매출은 20억 1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2%가 늘었다. 순이익은 6억 6700만 위안으로 지난해 보다 172.74% 증가했다. 화처잉스도 매출과 순이익이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8.85%와 20%가 늘었다.

그러나 비문화 산업 기업이 투자하는 문화 기업 상당수가 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이어서, 일부 기업의 맹목적 문화 시장 진출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현재 중국 증시에 상장한 미디어 그룹의 80%가 적자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샹어칭이 지분 51%를 인수한 중스잉스가 대표적인 사례. 중스잉스는 지난해 5억 6400만 위안의 손실을 기록했다. 샹어칭응은 중스잉스에 대한 투자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지분인수 당시 VAM(Valuation Adjustment Mechanism) 계약을 체결했다.

VAM은 일종의 평가 조정 메커니즘으로 기업이 투자자에게 미래의 불확정 변수로 인한 손실 보상을 미리 약속해 두는 계약이다. 중스잉스는 샹어칭에게 올해 순이익 5000만 위안 이상 달성을 VAM 조건으로 내걸었다. 또한, 샹어칭이 인수하는 중스잉스의 51%의 지분 가격은 중스잉스의 순이익이 주가수익비율 10배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기준으로 책정됐다.

중난(中南)중공업도 다탕후이황(大唐辉煌)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VAM 계약을 체결했다. 다탕후이황은 지난해 6632만 위안의 순이익을 냈고, 2014~2016년까지 매년 1억 위안의 순이익을 낼 것을 약속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