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에스지이(SG)는 우크라이나 주요 교통망 파손이 확대되면서 복구비 추정액이 상향 조정되는 가운데, 재건 수요 증가에 대비해 현지 사업 기반을 선제적으로 구축해 왔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SG 우크라이나 현지 법인장 나자렌코 안드리는 전쟁 장기화로 도로 파괴가 확대되고 있다며 도로·교통·운송 인프라 복구 비용이 올해 114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 수치는 유엔·세계은행·EU 집행위원회·우크라이나 정부가 공동 발표한 '제4차 긴급 피해 및 수요 평가(RDNA4)'를 기반으로 한다.
회사에 따르면 RDNA4는 향후 10년간 우크라이나 재건 비용을 5240억 달러(약 772조원)로 추산했으며, 이는 지난 2023년 발표된 RDNA2의 4110억 달러(약 606조원) 대비 약 27.5% 증가한 규모다. 분야별로는 교통 인프라 복구에만 775억 달러(약 114조원)가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 |
| 우크라이나 포설 시범구간 기념 사진. [사진=SG] |
회사는 러우 종전 후 최우선 복구 대상은 도로 등 교통운송 인프라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SG는 재건 수요 확대에 대비해 현지 사업 기반을 마련해 왔다. 회사는 우크라이나 현지 법인을 설립한 뒤 정부기관 및 민간 파트너와의 협의를 통해 유실 구간 발주 구조, 기술 요구 조건 등을 조사해왔다. 회사 측은 도로·교통 인프라 유실률이 증가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대규모 발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는 철강 산업이 발달한 국가로, 철강 슬래그를 활용한 친환경 아스콘(제품명 '에코스틸아스콘')의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SG는 이미 현지 기업과 약 178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고 관련 특허도 확보했다. 올해 키이우주 인근 850m 구간 시범 포설은 현지 평가 기관으로부터 품질·구조 안전성 항목에서 양호 판정을 받았다. 회사는 해당 데이터를 기술·시공 입찰 시 활용 가능한 근거로 보고 있다.
SG는 경쟁력 요소로 제강 부산물 기반 포장재 기술 및 현지 특허 등록, 현지법인의 발주·평가 대응력, 기체결 계약과 시범 포설 데이터 등을 제시했다. 회사는 이러한 요소들이 향후 발주처 협의에서 참여 우선권을 확보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G는 향후 시공 모델 확정, 추가 공급계약 확보, 생산·물류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특허 등록과 시범 포설 결과를 바탕으로 현지 발주처와 협의를 지속 중이며, 프로젝트 확정 시 단계적 매출 반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nylee5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