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위권 변별 위한 문항들, 작년 수능보다 어렵게 출제"
"전체 난이도는 작년과 비슷…상위권 변별·난도 조절 모두 잡아"
수학, 공통과목에 변별력 문항…영어는 선택지 오답 매력도 높여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13일 시행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상위권과 최상위권을 변별하기 위한 문항이 고루 출제되면서 수학영역은 까다로웠고 영어영역은 작년보다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국어영역은 작년 수능과 유사한 기조로 출제됐지만 독서과목의 최고난도 문항으로 변별력을 잡았다.
EBS 대표 강사인 윤윤구 한양대 사대부고 교사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2026학년도 수능 전체 난이도는 작년 수능과 유사한 수준이나, 최상위권 변별을 위한 문항들이 전년도 수능에 비해 다소 어렵게 출제돼 수험생이 느끼는 체감 난이도는 2025학년도 수능에 비해 다소 어렵게 느껴졌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실시된 13일 오후 서울 구로구 신도림고등학교 고사장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환호하고 있다. 2025.11.13 choipix16@newspim.com |
윤 교사는 "상위권 변별과 전체 수험생 난이도 조절이라고 하는 두 마리 토끼를 적절한 수준에서 잡아냈다"며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는 선택 과목의 유불리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잘 보여줬고 수험생의 변화, 선택 과목의 변화 등 수험생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 상황에 맞게 출제가 된 것으로 분석했다"라고 부연했다.
EBS 국어 대표강사인 덕산고의 한병훈 교사는 국어에 대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핵심 개념을 충실히 반영했고, 지난 9월 모의평가(모평)나 작년 수능의 출제 경향을 유지했다"며 "올해 수능에서는 독서의 난이도가 올라가고 문학이나 선택과목 난도가 낮아져서 적정 난이도를 유지했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독서 과목의 12번 문항은 이번 수능 국어의 최고난도 문항으로 꼽힌다. 해당 문항은 선형 열팽창 계수와 곡률, 곡률 반지름, 휨 민감도, 반응 완료 시간 등 여러 개념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하고 <보기>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지 묻는 문항이다.
수학은 공통과목을 중심으로 까다로웠다는 반응이다. EBS 수학 대표강사인 인천하늘고의 심주석 교사는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한 공교육 중심의 출제 기조는 유지하면서 상위권 변별력이 작년 수능보다 강화됐다"며 변별력이 높은 문항으로 공통과목 22번(수학 I)과 21번(수학 II) 등을 꼽았다.
영어는 작년보다 어려웠다고 평가했다. EBS 영어 대표강사인 대원외고의 김예령 교사는 "내용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어려운 지문은 배제하면서도 선택지의 오답 매력도를 전반적으로 높여 변별력을 확보했다"며 "저희 분석팀이 시험을 봤을 때 절대적인 난이도는 작년 수능보다 어려웠고 올해 9월 모평과 비슷하다고 판단했다"라고 전했다.
입시업계의 판단도 대체로 같았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국어에 대해 "문학과 선택에서 시간을 확보한 수험생들이 어려운 독서 지문을 얼마나 풀어냈는지가 주요 변수"라며 '열팽창' 과학지문과 철학 제시문을 고득점의 관건으로 꼽았다.
수학에 대해 종로학원과 이투스는 확률과 통계, 미적분 모두 9월 모의평가보다 어렵게 출제됐다고 분석하면서 계산 과정이 더욱 복잡해지고 풀이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영어 역시 유웨이, 이투스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어려웠다고 평가했다. 반면 종로학원은 작년 수능과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이번 수능의 EBS 연계율은 국어 53.3%, 수학 50%, 영어 55.6%로 모두 50%를 넘겼다.
jane9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