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진행된 2025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9월 카카오톡 개편 이후 주요 이용자 지표에서 의미 있는 반등이 나타났다"며 "메신저 플랫폼 특성상 체류시간 확대는 쉽지 않지만, 이번 개편을 계기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도 카카오톡 이용자 1인당 일평균 체류시간이 약 10초 증가하는 데 그쳤을 정도로 메신저 서비스에서 이용시간을 늘리는 것은 높은 난이도의 과제였다"며 "그러나 이번 개편 이후 주요 KPI상에서 이용자 체류시간이 24분대에서 26분에 근접한 수준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하향 안정화되던 이용자 체류시간이 처음으로 반등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채팅 탭의 트래픽은 견조한 가운데, 콘텐츠 탐색 및 발견 중심의 트래픽이 많은 친구 탭과 '지금' 탭에서는 3분기 평균 대비 체류시간이 10% 이상 증가했다"며 "대화방 중심으로 집중됐던 플랫폼 트래픽이 다른 탭으로 확장되며 카카오톡 전반의 트래픽 질이 향상됐다"고 말했다.
![]() |
| 카카오 로고. [사진=카카오] |
아울러 "앞으로 카카오톡의 핵심 기능인 채팅 영역에서는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다양한 피드백을 반영해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겠다. 이를 통해 국민 모두가 카카오톡 안에서 더 오래, 더 다양하게 머물 수 있는 사용 맥락을 강화하겠다"며 "현재 개편 직후의 체류시간 증가는 시작에 불과하다. 연초에 밝힌 목표대로 카카오톡 체류시간을 20% 이상 늘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