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과 선수금 격차 763억...보람, 턱밑 추격 허용
계열사 활용도 저조...웅진·교원 대비 사업 확장 한계
고객 민원 수 압도적 1위 '오명'...신뢰도 저하 우려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전통 상조기업의 강자로 군림해 온 보람그룹이 상조업계 2위 자리를 교원그룹(교원라이프)에 내줄 위기에 처했다.
최근 상조업계의 트렌드가 장례 서비스뿐 아니라 여행, 웨딩 등 '라이프케어' 서비스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지만, 보람그룹은 이 같은 변화에 뚜렷한 한계를 노출하며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결합상품 관리 부실로 인해 고객 신뢰까지 하락하면서 선수금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 교원에 '턱밑' 추격 허용한 보람..."전환 서비스 도입 늦어"
29일 상조업계에 따르면 업계 '2위' 보람그룹과 '3위' 교원라이프의 선수금 격차는 줄어들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보람그룹의 선수금 규모는 1조5670억원, 교원라이프는 1조4970억원이다.
선수금 규모로는 아직 교원라이프를 근소하게 앞서고 있지만, 증가율 면에서 크게 뒤처지며 턱밑 추격을 허용했다. 이는 최근 상조업계의 대세가 된 라이프케어 서비스 전환 경쟁에서 보람그룹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
| 보람상조CI |
최근 상조시장 트렌드는 전통 상조 서비스에서 어학연수·웨딩 등 라이프케어 서비스로 옮겨 갔다.
교원라이프는 올해 ▲트리니티 스파(뷰티케어) ▲세라젬(헬스케어가전) ▲에브리봇모빌리티(전통휠체어) ▲켄싱턴호텔(휴양) ▲신세계까사 '까사미아'(가구) ▲롯데캐피탈(장기렌터카) ▲KMI 한국의학연구소(건강검진) ▲포포즈(블리스스톤함) ▲다비치히어링 보청기(보청기) 등 9개의 제휴를 추가했다.
업계 1위인 웅진프리드라이프도 지난 1월 노블레스 수현과의 제휴를 시작으로 무브(MOVV)·하이모·세라젬·도그메이트 등 다양한 업종의 회사와 MOU를 체결해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교원라이프과 웅진프리드라이프는 사업 확장을 위해 계열사를 적극 활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원은 여행사업 계열사인 교원투어 여행이지, 웅진프리드는 프리드투어와의 시너지를 통해 전환 서비스를 강화했다.
하지만 보람그룹은 웅진프리드라이프와 보람그룹과 달리 외부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전환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 상조업계 관계자는 "보람그룹은 웅진프리드와 교원과 달리 계열사를 적극 활용할 수가 없는 구조"라며 "최근 장례 준비에 대한 수요가 줄면서 토탈 라이프케어 기업으로의 전환이 중요해졌는데, 보람그룹은 이러한 흐름에 살짝 뒤처진 감이 있다"고 설명했다.
◆ 고객 민원 압도적 1위 '오명'...신뢰도 하락 문제까지
고객 신뢰도 하락이라는 치명타까지 맞았다. 최근 몇 년간 보람상조가 경쟁사 대비 압도적으로 많은 소비자 상담 접수 건수를 기록하면서, 고객 이탈 및 신규 선수금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28일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소비자원에 제출받은 '상조회사별 상담 접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상담 접수 건수가 가장 많은 상조 회사는 보람상조(1206건)이었다.
특히 교원라이프(407건), 대명스테이(220건), 더케이예다함(472건) 등 경쟁사 대비 3~6배 많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올해 상반기로 한정하더라도 보람상조(183건)가 상조 회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상조업계에서는 타 회사와 달리 보람그룹이 계열사에 대한 중앙 통제력이 약한 탓에 고객 응대의 비효율성이 높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보람그룹은 중앙 통제력이 약한 다법인 운영 구조를 갖고 있다"며 "이는 고객 응대 체계 비효율로 인한 고객 신뢰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후발 주자 추격 속에서 최근 보람그룹은 공격적으로 영업망을 확대하고 있다"며 "이 점도 보람그룹의 고객 응대 실패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tpoemseok@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