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풀스택 AI 구축 경험과 혁신 경험 공유
'세제 혜택'·'규제 완화' 등 제도 지원 필요성도 강조
AI 데이터센터 특별법 추진에 "산업 체질 전환의 제도적 기반" 평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9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회의(APEC CEO Summit)'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AI는 디지털 생태계를 섬세하게 연결하는 도구"라며 "모두를 위한 AI 실현을 위해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수연 대표는 이날 진행된 APEC CEO Summit 두 번째 주제 세션에서 약 10분간 기조연설을 진행하며, AI 기술 발전의 방향성과 AI 데이터센터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대표는 "네이버가 만들고 있는 AI는 디지털 생태계를 더 섬세하게 연결하는 도구이자, 이용자·창작자·판매자의 가능성을 실현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기술"이라며 "이를 위해 네이버는 일찍부터 AI 기술에 선제적으로 투자해왔고, 인프라부터 모델·서비스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AI 생태계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 |
| 29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회의(APEC CEO Summit)' 현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이어 "AI 기술 발전의 혜택은 모두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모두에게 더 나은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AI의 핵심 인프라는 바로 AI 데이터센터"라고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나아가 "전 세계 여러 나라가 AI 데이터센터를 국가 전략사업으로 추진하고 있고, 한국 정부도 정보고속도로에 이어 AI 고속도로 건설을 통해 또 한 번의 국가적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며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행정절차 간소화, 입지 규제 완화 등 실질적 제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 대표는 정부와 국회가 추진 중인 AI 데이터센터 관련 특별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국가 산업 체질을 AI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며 "이러한 노력은 기업뿐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는 포용적 AI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AI 데이터센터가 직면한 전력·환경 문제 해결에는 공공과 민간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자리가 그 과제를 함께 풀어가는 의미 있는 협력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앞서 최 대표는 전날(28일) 열린 APEC CEO Summit 부대행사인 'APEC 퓨처 테크 포럼'에서도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네이버의 풀스택 AI 구축 경험과 산업 현장에서의 AI 적용 사례 등을 공유했다.
한편, APEC CEO Summit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의 경제 분야 핵심 행사로, 오는 31일까지 개최된다. APEC 회원국 정상과 글로벌 기업 CEO 등 1700여 명이 참석해 ▲AI ▲반도체 ▲공급망 ▲디지털 헬스케어 ▲수소 협력 ▲탄소중립 ▲K-컬처 등 다양한 글로벌 의제를 논의한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