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우진 대표 "K팝은 팬 비즈니스 모델, 음악 산업의 핵심"
엠넷플러스, 론칭 3년 만 MAU 2000만 돌파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CJ ENM이 글로벌 K팝 콘텐츠 플랫폼 엠넷플러스의 성장을 위해 오리지널 콘텐츠에 투자 4배 확대 추진 계획을 밝혔다.
2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CJ ENM센터에서는 'CJ ENM 컬처 토크(TALK)'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해당 자리에는 김지원 CJ ENM 엠넷플러스 사업부장과 차우진 엔터문화연구소 대표가 참석했다.
이날 'CJ ENM 컬처 토크'는 '잘파세대 파고든 엠넷플러스, 글로벌 플랫폼으로 날다'를 주제로 진행되며, 글로벌 K팝 콘텐츠 플랫폼 엠넷플러스의 성과 및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마련됐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CJ ENM 컬처 TALK'에 참석한 차우진 엔터문화연구소 대표(왼쪽)와 김지원 CJ ENM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오른쪽). [사진=CJ ENM] 2025.10.28 alice09@newspim.com |
엠넷플러스는 2022년 론칭됐으며 K팝 영상콘텐츠, 설문조사, 투표 참여, 플러스 라이브, CJ ENM의 콘텐츠, 오프라인 콘서트 등을 통해 글로벌 팬들이 K팝 문화와 콘텐츠를 함께 만들고 즐길 수 있는 소통형 K팝 컬처 플랫폼이다. 또한 론칭 3년 만에 누적 가입자 4000만명을 넘어섰고,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2000만명, 일간 활성 이용자(DAU)는 762만명을 돌파했다. 전체 트래픽의 약 80%가 해외 이용자로 구성돼 있으며, 글로벌 잘파 세대를 중심으로 이용층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 CJ ENM '엠넷플러스', 오리지널 콘텐츠에 투자 4배 확대
김지원 사업부장은 "저희는 누구보다 K팝 콘텐츠에 진심이었다. 엠넷, 마마어워즈, K콘 등을 통해 K팝 문화를 전파하는 리더 역할을 해왔다"라며 "CJ ENM은 이러한 접점을 디지털이라는 도구를 통해 더욱 확대하고자 2022년 엠넷플러스를 론칭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런칭 당시 가입자가 740만명이었다면, 지난해 약 4배의 성장을 기록했고 올해 10월 기준으로는 4000만 가입자를 확보하는 쾌거를 이뤘다. 2025년 영상 콘텐츠 누적 조회수는 1.3억을 돌파하면서 내실 있는 성장을 이뤄냈다"며 그간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CJ ENM 컬처 TALK'에 참석한 김지원 CJ ENM 엠넷플러스 사업부. [사진=CJ ENM] 2025.10.28 alice09@newspim.com |
그는 "엠넷플러스는 전 세계 잘파 세대 여성 고객의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 올해는 한·중·일에서 성장세를 보였다면, 내년부터는 북미 등 그 외 핵심 지역에서 고객을 확보하려고 한다. 4000만 가입자와 2000만 MAU는 가슴 떨리는 숫자이다. 이는 K팝 콘텐츠, 팬터랙티브(팬+인터랙티브의 합성어) 콘텐츠라는 두 가지 핵심 키워드를 성장 요인으로 꼽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CJ ENM은 향후 엠넷플러스를 시청·참여·소비가 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K팝 올인원 팬터랙티브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라이트 팬덤이 코어 팬덤으로 성장하고, 코어 팬덤이 더 깊이 K팝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 부장은 "K팝 라이트 팬덤부터 코어 팬덤까지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로 플랫폼 확장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팬터랙티브 콘텐츠로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해 코어 팬덤의 만족과 라이트 팬덤의 코어화 및 플랫폼으로 록인(Lock-in·고객을 묶어두는 효과)을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K팝은 하나의 대중 장르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일반 대중과 라이트 팬덤도 K팝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게 하는 것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K팝과 K컬처에 관심 있는 글로벌 잘파 세대가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려고 한다. 아티스트들의 예능과 리얼리티를 통해 K팝 올인원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엠넷플러스의 성장 지표. [사진=CJ ENM] 2025.10.28 alice09@newspim.com |
엠넷플러스는 투표, 서포트, 라이브 스트리밍, 실시간 톡 등 '팬터랙티브' 기능을 고도화해 이용자의 참여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그 결과 '보이즈 2 플래닛' 파이널 생방송 투표 당시 초당 최고 7만 표가 집계되는 등 팬덤의 뜨거운 참여를 입증했다.
김 부장은 "팬터랙티브를 통해서는 팬들이 소비자이자 생산자가 되어 콘텐츠 시청 이상의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간 채팅, 라이브 톡 기능을 통해 팬들과 소통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투표를 통해 제작 구성, 순위 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팬터랙티브 기능 외에도 오리지널 콘텐츠로 가입을 유도하고자 한다. 앞서 '숨바꼭질', '더 시티 오브 스파이: NCT 127' 등 오리지널 예능을 선보인 엠넷플러스는 오리지널 콘텐츠의 비중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김지원 사업부장은 "오리지널 콘텐츠인 '숨바꼭질'은 올해 3월 론칭한 공포 추격 서바이벌 예능 시리즈인데 라이즈, 제로베이스원, 올데이프로젝트, 보이넥스트도어 등 톱 아티스트들이 출연하고 있다. 올해 마마 어워즈에서는 4K로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마마만이 보여줄 수 있는 퍼포먼스를 전 세계 송출하고, 무대뿐 아니라 비하인드까지 디지털만이 할 수 있는 시청영역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김지원 엠넷플러스 사업부장. [사진=CJ ENM] 2025.10.28 alice09@newspim.com |
아울러 "엠넷플러스 최초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플래닛 C: 홈 레이스'는 오는 12월 첫 공개하고자 한다. 4분기에 공개될 대표 콘텐츠를 통해 엠넷플러스 플랫폼이 추구하는 방향성을 이야기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올해 이러한 시도들과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엠넷플러스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를 약 4배 정도 증가시킬 예정이다. 이러한 투자를 통해 양질의 콘텐츠로 전 세계 고객을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 "K팝 산업은 팬 비즈니스 모델, 플랫폼은 성장 견인하는 핵심 동력"
차우진 엔터문화연구소 대표는 'K팝의 문법이 바뀐다'를 주제로 K과 글로벌 플랫폼에 대해 이야기했다. 차 대표는 "최근 K팝 산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때, K팝 팬이라는 사람들의 존재가 얼마나 하나의 영역을 얼마나 크게 성장시키고 있는가를 깨닫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는 소비자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는데 요즘에는 K팝 커버 댄스 행사에 참여하거나 이를 기획하고, 영상을 찍어서 업로드하고 있다. K팝에 대한 여러 정의를 하고 있는데 어떤 분들은 K팝의 핵심을 연습생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여러 의견이 있는데 제가 봤을 때 K팝은 팬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생각한다"고 정의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CJ ENM 컬처 TALK'에 참석한 차우진 엔터문화연구소 대표. [사진=CJ ENM] 2025.10.28 alice09@newspim.com |
차 대표는 "20세기에 K팝은 마케팅과 브랜딩을 통해 팬덤이 모였다면 지금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먼저 팬덤이 형성되고 마케팅과 브랜딩이 더해져 데뷔를 하는 과정으로 바뀌었다"라며 "한국 대형 기획사도 이렇게 신인을 데뷔시키고 있다. 팬이 모든 음악 산업에서 핵심이 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러한 K팝 산업에서 플랫폼은 K팝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기도 하다. 팬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이기 때문에 팬덤 중심의 플랫폼은 여러 형태를 띠고 있다. K팝 플랫폼의 특징은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라며 "하나의 앱에 다양한 아티스트가 입점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더 많은 팬들이 유입되면서 선순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 커뮤니티부터 라이브, 티켓까지 구매하는 슈퍼 앱의 형태를 보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차우진 대표는 "이제는 플랫폼이 '어떤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는가'가 핵심이며, 플랫폼이 팬덤의 깊이를 넘어 K팝 문화 향유 팬들의 넓이를 확장하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alice0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