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IP 라이선스 수익 사상 최고 기록
ITC, 비코 특허 침해 제품 수입 금지 명령
IP 라이선스 사업, 새로운 수익 엔진 부상
OEM, 하이퍼스케일러와 협상 촉진
이 기사는 10월 23일 오후 4시5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미국의 모듈형 전력 부품 전문기업 비코(종목코드: VICR)가 21일(현지시각) 장 마감 후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적이 시장의 기대를 크게 상회하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지적재산권(IP) 라이선스 사업이 본격적인 수익 창출 단계에 진입하면서, 회사는 전통적인 제조업체에서 기술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다는 평가다.
![]() |
| 비코 로고 [사진 = 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1981년 설립되어 미국 매사추세츠주 앤도버에 본사를 둔 비코는 컴퓨팅, 산업 장비, 통신, 운송, 방위 산업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는 모듈식 전력 부품과 시스템을 설계·제조하는 기업이다. 회사 주가는 실적 발표 이후 22일 89.89달러로 전일에 이어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비코가 이번 분기 실적에서 가장 강조한 부분은 IP 라이선스 수익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회사는 3분기 라이선스 수익이 단독으로 분기별 연구개발(R&D) 투자액을 초과했다고 밝혔으며, 2026년까지 주요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업체 및 하이퍼스케일러와의 계약을 통해 약 3억 달러의 수익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파트리지오 빈시아렐리 비코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자리에서 "2분기 특허 침해 소송 합의 이후 3분기 IP 라이선스 수익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비코가 개척한 고밀도 전력 시스템은 고성능 컴퓨팅의 핵심 경로에 있기 때문에 IP 라이선스 사업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3분기 실적, 시장 컨센서스 대폭 초과
비코의 3분기(9월 30일 기준) 실적은 모든 면에서 시장 예상을 상회했다. 순이익은 2830만 달러로 전년 동기 1160만 달러에서 144% 증가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63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0.26달러 대비 142%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 0.17달러를 무려 270.59%나 초과 달성했다.
![]() |
| 비코의 타겟 시장 [자료 = 업체 홈페이지] |
3분기 제품 매출 및 라이선스 수익을 합친 총매출은 1억 1040만 달러로 컨센서스 추정치 9540만 달러를 15.74% 웃돌았다. 이는 전년 동기 9320만 달러 대비 18.5% 증가한 수치다. 제품 판매뿐 아니라 IP 라이선스 수익이 매출 성장에 크게 기여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특히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졌다. 3분기 총이익은 6350만 달러로 전년 동기 4570만 달러에서 39% 증가했으며, 총이익률은 57.5%를 기록해 전년 동기 49.1%에서 8.4%포인트 상승했다. 고마진 IP 라이선스 사업의 본격화가 전체 수익성 개선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도 3850만 달러로 전년 동기 2260만 달러 대비 70% 이상 증가하며 현금 창출 능력이 크게 개선됐다. 9월 30일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약 3억 6240만 달러로, 6월 말 3억 3850만 달러 대비 7.0% 증가해 재무 건전성도 더욱 공고해졌다.
◆ 2분기 대비 감소는 일회성 요인 반영
다만 직전 분기인 2분기와 비교하면 일부 지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매출은 2분기 1억 4100만 달러 대비 21.7% 감소했고, 총이익률도 2분기 65.3%에서 3분기 57.5%로 7.8%포인트 하락했다. 순이익 역시 2분기 4120만 달러에서 31.3% 줄어들었다.
![]() |
| 비코의 AC-DC 컨버터 부품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그러나 이는 2분기에 4500만 달러 규모의 특허 소송 합의금이 일회성으로 포함된 데 따른 것으로, 정상적인 영업 기조와는 구분해서 봐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로 합의금을 제외한 2분기 제품 매출과 비교하면 3분기 실적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3분기 수주 잔고는 1억 5280만 달러로 전년 동기 1억 5060만 달러 대비 1.5% 증가했으나, 2분기 1억 5520만 달러에서는 소폭 감소했다. 자본 지출은 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840만 달러, 2분기 620만 달러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ITC 수입 금지 조치, IP 라이선스 확대의 촉매제
비코의 IP 라이선스 사업 본격화 배경에는 2025년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제한적 배제 명령(LEO)이 있다. ITC는 특정 비코 특허가 적용되는 침해 버스 컨버터와 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수입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은 특정 비코 특허를 대상으로 하며 침해된 특허의 수명 기간 동안 유효하다.
![]() |
|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로고 [사진 = ITC 홈페이지] |
ITC 조사에서 침해로 판명된 계약 제조업체가 생산한 모든 침해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 명령은, 주요 OEM 업체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기업들이 비코와 합의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도록 유도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비코의 IP 라이선싱은 800V, 48V, 12V 버스 컨버터와 수직 전력 공급(VPD) 시스템을 포함한 고밀도 전력 시스템 기술을 대상으로 한다. 이는 AI, 고성능 컴퓨팅, 자동차, 산업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빈시아렐리 CEO는 "OEM 및 하이퍼스케일러 기업들은 라이선스를 새로 취득하거나 갱신하거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며 "비코는 침해 계약 제조업체 및 침해 전력 모듈 제조업체를 통한 컴퓨팅 시스템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매출의 18%를 차지하는 비코의 R&D 투자는 침해 전력 모듈 제조업체와 계약 제조업체의 R&D 매출 비율을 크게 초과한다"며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IP 라이선스 전략의 정당성을 설명했다. 비코는 앤드류 다미코 지적재산권 법률 고문을 중심으로 사내 팀과 외부 법률 고문으로 구성된 전담 IP 라이선스 팀을 구성해 이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②편에서 계속됨
kimhyun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