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다문화·성인지' 품는 학교 공간 만든다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한 교육환경 조성이 목표
[서울=뉴스핌] 황혜영 인턴기자 = 서울시교육청은 유니버설디자인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한 '2025~2029년도 서울시교육청 유니버설디자인 기본 계획'을 전국 시도교육청 중 최초로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기존의 '무장애(Barrier Free)' 개념을 넘어 성별·연령·국적·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이 이번 계획의 목표다.
![]() |
서울시교육청 전경. [사진=서울시교육청] |
이번 기본계획은 정서장애 및 다문화 학생 증가와 같은 교육 현장의 변화를 반영해 '다름을 넘어 공존하는 학교'를 만드는 데 중점을 뒀다.
서울시교육청은 정서적 안정, 문화적 포용 등 기존 설계에서 간과됐던 비물리적·심리적 요소를 구체화하는 '5대 핵심 과제'를 선정하고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실행 기준을 정립할 계획이다.
5대 핵심 과제는 ▲정서장애 학생을 위한 공간설계 기준 정립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정보환경·공간디자인 기준 마련 ▲성인지 감수성 기반의 공간 구성 기준 수립 ▲교직원·학부모 등 다양한 사용자 유형별 공간구성 기준 정립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령별 공간 설계 기준 마련 등이다.
서울시교육청은 기본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인력풀 구성·운영 ▲유니버설기자인 학생 교육 및 참여형 설계제도 도입 등 다양한 정책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모든 학생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누구도 차별받거나 소외되지 않는 학교 환경을 만들기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모든 학교 구성원이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함께 성장하는 포용적인 학교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hyeng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