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시타 딘,장-뤽 고다르 등의 영화상영및 전시
국내 최초 아벨 강스의 '나폴레옹'(5시간반) 눈길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요즘 전세계 현대미술관들은 예술영화 상영과 영화 전시를 앞다퉈 선보이고 있다. 부산현대미술관 또한 영화 전시와 예술영화 상영에 진심이다. 이에 전국의 시네필과 영화학도들은 부산현대미술관이 선보이는 특별한 영화전시와 다양한 예술영화 상영을 2년 마다 기다리고 있다. 이래저래 부산은 영화의 도시다.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 아벨 강스 '나폴레옹'. 1927년작. 5시간30분 길이의 영화다. Images courtesy of BFI and Photoplay Production [사진=부산현대미술관] 2025.10.08 art29@newspim.com |
부산현대미술관(관장 강승완)의 격년제 영화전시 '부산현대미술관 시네미디어'의 올해 버전은 '영화 이후'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23년의 첫 전시 '시네미디어_영화의 기후: 섬, 행성, 포스트콘텍트존'에 이어 두 번째 전시다. 김은희·정세라·하상민이 공동기획한 2025년 전시는 디지털 혁명이후 변화한 영상기술 환경 속에서 영화예술의 고유한 특성과 현대미술 안에서 재구성되는 영화적 세계를 탐구하는데 촛점을 맞췄다. 즉 영화산업 구조나 기술발전에 따른 시각적 재현방식의 변환 속에서 사라지거나 새롭게 나타나는 양상을 짚머보고 있다.
올해 시네미디어는 장-뤽 고다르, 타시타 딘 등 국내외 초청작가및 감독 67명(팀)의 영화, 다큐멘터리, 16mm 필름 설치, 실험영화, 디지털 애니메이션, 무빙 이미지 등 총 111점(전시 12점, 상영 99점)으로 짜여졌다.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장-뤽 고다르, '영화사(들)', 1988-1998 Jean-Luc Godard, Histoire(s) du Cinéma (1988-1998) © 2000 Gaumont. [사진=부산현대미술관] 2025.10.08 art29@newspim.com |
주요 출품작으로는 장-뤽 고다르가 1988년부터 1998년까지 10여 년간 제작한 기념비적 비디오작업 '영화사(들)', 움직임의 속도변화와 공간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마이클 스노우의 '씨 유 레이터'(1990), 영화의 내러티브 형식을 탄생시킨 하룬 파로키의 '그리피스 영화의 구조'(2006)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영화의 고유성을 확장하는 동시에 전시공간에서 '영화'의 예술적 잠재력을 새롭게 체험하게 한다.
타시타 딘의 '바다에서 사라짐'(1996), '테인마우스 일렉트론'(1999), '파타 모르가나'(2022)와 로사 바바의 '복사 노출-시간은 빛줄기를 따라 흐른다'(2022)는 16mm 필름 영사기 설치작품으로 전시실 내부에 마련된 특수 공간(블랙 룸)에서 상영된다. 전시 외 상영프로그램으로 선보이는 99편의 영상 작품은 전시실 2의 '극장 을숙'과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마련된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부산현대미술관의 격년제 영화전시 '영화 이후' 공식포스터. [사진=부산현대미술관] 2025.10.08 art29@newspim.com |
올해 전시는 매체의 혼종성, 미학적 유산, 기술적 환경이 교차하는 현 시점에서 영화가 어떻게 '다른 형태의 영화'로 변모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나아가 전통적 상영방식을 벗어나 변화하는 공간과 시간 속에서 관객과 이미지가 맺는 새로운 관계를 탐구하며, 스스로 진화하는 영화 '이후'를 함께 상상하는 장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영화의전당과 함께 하는 특별상영 프로그램'(공동주최: 영화의전당)은 영화가 선사하는 압도적인 시각적·청각적 경험을 새롭게 조명한다. 특별상영 프로그램은 10월 10일부터 19일까지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와 중극장에서 진행된다. '장-뤽 고다르: 혁명과 영화', '영향1: 고다르와 오톨리스 그룹', '영향2: 고다르와 파로키', '스펙터클의 힘' 4개 섹션, 12편으로 구성되며 총 18회 상영된다. 빛과 색채, 인물의 행동, 사물과 풍경의 움직임 등 시각적 요소와 사운드가 극장이라는 확장된 장소성과 만나면서, 전시실과는 또 다른 감각적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아벨 강스의 1927년 작품인 '나폴레옹'이 영국영화연구소(BFI)와 포토플레이 프로덕션의 공동복원을 통해 5시간30분 길이의 DCP 버전으로 완성돼 이를 국내 최초로 상영한다. 모든 작품은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는 특별 초청강연, 워크숍, 심포지엄, 퍼포먼스, 작가와의 대담이 마련됐다. 특히 필름 영상 제작 전문가와 함께하는 참여형 워크숍에서는 제작원리와 기술적 이해를 쌓고, 참여자들이 직접 제작한 결과물을 '극장 을숙'에서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워크숍은 전문가와 일반인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사전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또한 AAMP(아시안 아티스트 무빙이미지 플랫폼)는 김은정 작가의 신작'회선, 비가시적 좌표'를 작품 상영과 연계 퍼포먼스로 공개한다. 또한 그레이코드(조태복·정진희)와 지인 작가 역시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의 '뱀파이어'(1932)와 협업해 사운드퍼포먼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미술관측은 영화의 역사와 유산을 되짚고 영화가 맞이할 미래에 대한 관점과 담론을 담은 '글모음집'도 발간한다.
강승완 부산현대미술관장은 "전시를 통해 단순히 영화라고 불러왔던 익숙한 형식이 어떤 방식으로 해체되고 재구성되는지에 대한 확장된 가능성과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며,"이번 영화 전시가 소리와 빛, 움직임과 공간이 뒤섞인 구성 안에서 관객의 감각과 사유를 지속적으로 자극하는 경험으로 다가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참여는 사전 예약 및 현장 관람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문의는 부산현대미술관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전화(051-220-7400)로 문의하면 된다. 전시는 2026년 2월 18일까지, 부산현대미술관 2,3전시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