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수기 접수로 불편 최소화
UPS 화재 원인 분석 및 대체 안내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24, 우체국 금융 등 주요 행정서비스가 전국적으로 중단되자 경남도가 도내 피해 점검과 대체 수단 마련에 나섰다.
경남도와 교육청, 진주시, 김해시 등 각급 지자체는 긴급회의를 열어 수기 접수와 민원 안내 강화로 도민 불편 최소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경남도는 28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발생한 국가 행정정보시스템 장애와 관련해 전국 비상대책회의에 참석해 도내 피해 여부를 긴급 점검했다.
![]() |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운데)가 28일 실·국·본부장 회의를 주재하며 행정정보시스템 피해상황과 대처방안 등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09.29 |
도는 대표 누리집이 공공 클라우드존에서 운영돼 직접 피해는 없었지만, 정부24·우체국 금융·국민신문고·모바일 신분증 등 대국민 서비스와 공직자 통합메일·온나라 메일 같은 행정서비스가 전국적으로 중단됐다.
화재 원인은 무정전전원장치(UPS) 내 리튬이온배터리 발화로, 구조상 서버와의 간격이 좁아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청 UPS는 납산배터리를 사용해 안정적이라는 게 도의 설명이다.
도는 18개 시군에 UPS와 정보시스템 자체 점검을 요청했고, 필요 시 합동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도와 시군 누리집·SNS를 통해 서비스 중단 및 대체 수단을 안내하고 있다.
복지 포털 '복지로'와 사회보장시스템 '행복이음'은 수기 신청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e하늘장사시스템' 접속 불가 시 시군별 현장 접수로 처리 중이다. 구급 관련 서비스 장애로는 구급대원이 직접 병원에 전화를 걸어 병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경남도교육청은 부교육감 주재 긴급회의를 열고 나이스, K-에듀파인 등 교육행정 서비스는 정상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다만 정부24·국민신문고·나라장터와 연계된 업무는 중단 상태여서 계약, 민원 등은 수기 처리 매뉴얼을 각급 학교에 안내하기로 했다. 교육청은 비상대응반을 운영하며 행안부·교육부와 협력 중이다.
진주시도 긴급회의를 열어 민원불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은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을 활용하고, 전입신고와 토지대장 등은 직접 방문하도록 안내했다. 무인민원발급기는 중단됐으며, 시청 홈페이지와 읍면동 민원실 등을 통해 대체 수단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김해시는 홍태용 시장 주재로 긴급상황회의를 열고 콜센터 응대 강화와 수기 처리 매뉴얼 재정비 등 대응책을 논의했다.
홍 시장은 전산실을 직접 점검하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정보를 제공하고, 긴급대응반을 중심으로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중앙부처·지자체와 협력해 피해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도민 기본 행정서비스가 차질 없이 제공되도록 대체 수단을 신속하게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