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교육청은 지역 교육단체가 제기한 '광주교육 브랜드송 홍보' 사업의 예산 낭비 지적 등에 대해 반박했다.
광주시교육청은 1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의 보도자료와 관련해 해명 자료를 냈다.
![]() |
광주시교육청. [사진=박진형 기자] |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서비스(직원 휴대전화 통화연결음)는 광주교육 브랜드송과 청렴 메시지 등을 생활 속에서 공유하기 위한 공익적 홍보 수단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타 홍보 매체를 이용한 홍보비와 비교할 때 매우 적은 수준으로 일상 속에서 효과적으로 교육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합리적 방법이다"고 부연했다.
타 지역은 한시적으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운영해 사업의 목적과 대상이 명확하다는 지적과 관련해 "우리 교육청은 특정 이벤트가 아닌 학생들의 꿈과 희망을 응원하는 광주교육 브랜드송, 청렴 캠페인 같은 교육적·공익적 메시지를 꾸준히 시민과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고 밝혔다.
광주시교육청은 '사업비를 타 부서(시설과)에서 전용하고 시의회 의결을 받았는지 모르겠다'는 주장에 대해선 "서비스 사용된 예산은 전용이 아닌 재배정 절차를 거쳐 집행됐다"고 바로잡았다.
재배정은 이미 확정된 예산 총액을 배분하는 것으로 별도의 시의회 심의가 필요 없으며 지방재정법의 절차를 준수했다는 설명이다.
내년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선거용 홍보가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서도 "특정인 홍보가 아닌 광주교육의 가치 확산에 있다"며 "모든 홍보물에 대해 선거관리위원회 검토를 받으며 공직선거법 준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서비스는 직원의 자율적 신청에 기반하고 있다. 신청하지 않은 직원에게는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며 "신청자는 전체 직원 중 약 8~10% 수준이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앞으로도 시민과 교육가족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 중심 홍보에 집중하고, 최소한의 예산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합리적 홍보 방안을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공언했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