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2030년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 65%' 목표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제2차관이 체육계에 만연한 폭력 및 성폭력 문제에 대해 "2중, 3중으로 일벌백계할 장치가 마련돼 있다"며 강력한 척결 의지를 천명했다.
김대현 차관은 18일 서울 영등포구에서 열린 첫 체육기자 간담회에서 스포츠계 폭력 문제에 대한 질문에 "굉장히 중점을 두는 분야"라며 "(이러한 문제가 불거지면) 다른 모든 성과를 다 까먹게 된다"고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 |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18일 서울 영등포구의 한 식당에서 문체부 출입 체육기자단과 간담회를 갖고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문체부] 2025.09.18 fineview@newspim.com |
그는 과거 스포츠 비리 신고 센터에서 출발해 현재 법인화된 '스포츠윤리센터'를 언급하며, "설립 5주년을 맞아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예산과 인력을 지속적으로 충원하며 노하우를 쌓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김 차관은 경기 단체 내부의 '제 식구 감싸기'식 솜방망이 처벌 관행을 지적했다. 그는 "경기 단체의 징계가 너무 가볍다고 판단될 경우, 스포츠윤리센터가 다시 심의하도록 권한을 부여했다"며 "과거 한 단계로 끝나던 징계 절차를 2중, 3중으로 보완해 일벌백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이어 "폭력, 성폭력과 같은 심각한 사안에 대해서는 신설된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적용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근 불거졌던 문체부와 대한체육회, 대한축구협회 등과의 갈등에 대해선 "정부 조직도 가정사와 같아서 큰 집과 작은 집 사이가 좋아야 한다"며 "관련 단체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하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모든 결정의 열쇠는 국민이 쥐고 있다"며 "국민의 뜻을 거스르면서 행정을 할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문체부는 이날 '이재명 정부 체육 정책 방향' 브리핑을 열고 2030년까지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 65%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40%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맞춤형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고, '전 국민 스포츠 참여 포인트' 제도를 도입한다. 또한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된 헬스장·필라테스 등의 '먹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국민체육센터 및 체력인증센터를 확충해 균등한 스포츠 참여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전문 체육 분야에서는 은퇴 선수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확대와 공제 사업을 추진하고, 성장 단계별 우수 선수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스포츠 거버넌스를 구축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finevie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