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일본 車관세 15%' 행정명령 서명…韓 아직 25%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이르면 다음 주부터 15%로 낮춰 시행하기로 하면서, 당분간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과 일본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에서 한국이 불리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한국과 일본 모두 미국과 협상을 통해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했으나, 미국이 일본에 대해 먼저 행정적 절차를 마치면서 일정 기간 미국 시장에서 한일 자동차 관세에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15% 적용 시점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일본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백악관이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현재 27.5%인 일본 자동차 관세는 15%로 낮아진다. 일본 교도통신은 "일본 자동차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15% 관세가 이르면 내주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수출용 자동차 선적장 모습 [사진=현대차] |
한국도 지난 7월 30일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등을 조건으로 현재 25%의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으나, 아직 이를 이행하기 위한 행정명령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 기아는 당분간 미국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물고 일본 자동차와 경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와 일본의 도요타·혼다 등은 미국 시장에서 주력 판매 모델이 비슷해 결국 '가격'이 경쟁력인 상황이다.
지난 4월 25% 관세 부과 이후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지속 감소세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수출은 4월 28억9000만 달러(-19.6%) ▲5월 25억2000만 달러(-27.1%) ▲6월 26억9000만 달러(-16.0%) ▲7월 23억3000만 달러(-4.6%) 등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자동차업계는 한미 간 조속한 추가 협상과 함께 국내생산 세액공제 신설 등 정책적 지원도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 4월 미국의 25% 관세 영향으로 매월 손실액이 5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8월에 이어 9월에도 25% 관세율을 적용받으면 3분기 실적 악화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대차와 기아의 2분기 영업이익은 3조6016억원, 2조764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5%, 24% 감소했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당분간 미국에서 일본차와 가격 경쟁에서 한국차가 밀리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더라도 자동차와 부품업계 연간 피해 규모가 수 조원대라고 하는데 하루 빨리 행정 절차를 통해 관세를 낮춰주길 기대할 뿐"이라고 말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