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개 팀 참가…학생부·일반부 본선서 도시문제 해법 경쟁
국내 최초 250m 격자 생활이동 데이터 제공, 교통·주거·상권 분석 활용
청년 주거 안정·소상공인 상권 분석 등 혁신 아이디어 쏟아져
총 6개 팀 수상…우수작은 정책 반영·사업화 연계 검토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는 지난 27일 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기념관에서 서울시, 서울시립대와 함께 '2025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해커톤'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생활이동 데이터를 활용해 살기 좋은 수도권을 설계한다는 주제로 열렸다.
대회에는 총 88개 팀이 참가했으며, 학생부와 일반부 각 8팀이 본선에 진출해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KT가 제공한 생활이동 데이터는 수도권 전체를 250m 격자, 20분 단위로 집계한 국내 최초의 정밀 데이터로, 출퇴근·쇼핑·관광 등 7가지 이동 목적과 지하철·버스·차량 등 8가지 이동 수단을 성별·연령별로 분석할 수 있다.
기존 교통카드 데이터가 일부 구간에 그쳤다면, 이번 데이터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모두 포함해 교통 사각지대 해소, 환승센터 입지 선정, 직행버스 신설 등 도시정책 전반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평가다.
![]() |
사진은 지난 27일 서울시립대 1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2025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해커톤 모습. [사진=KT] |
또한 교통뿐만 아니라 주거·의료·상권 분석에도 적용 가능하다. 청년층 출퇴근 여건을 반영한 공공임대주택 입지 선정, 병원 방문 데이터 기반 의료취약지 분석, 관광객 이동 경로 분석, 지역 상권 활성화 전략 수립 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번 대회 결과 총 6개 팀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일반부 최우수상은 '소상인싸' 팀의 '생활이동 데이터 및 정형·비정형 데이터 기반 소상공인 심층 상권분석 LLM 챗봇'이 차지했다. 학생부 최우수상은 '민심쏭쏭' 팀의 '청년 행복지수 기반 임대주택 최적 입지 제안'이 선정돼 주거 안정 해법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연령대별 보행권 분석(동행지도) ▲생활 SOC 수요·공급 진단(컴플렉시티) ▲고령자 이동불편 구역 분석(MOVE:ON) ▲노년층 맞춤형 교통 서비스 제안(모빌로(老)티) 등이 우수작에 올랐다. KT는 총 1,000만 원 규모의 상금을 지원했으며, 일부 아이디어는 실제 정책 반영과 사업화까지 검토할 계획이다.
김영걸 KT 서비스Product본부장(상무)은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교통, 주거, 의료 등 시민 생활과 직결된 문제 해결의 핵심 자산"이라며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를 확장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