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정부 시절 이재명 대통령과 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관련 수사를 맡았던 검사들이 줄줄이 사직 의사를 밝히고 있다. 첫 검찰 중간간부 인사 후폭풍으로 줄사직이 이어지면서, 추가 인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종현(50·사법연수원 33기) 대검찰청 공공수사기획관은 최근 법무부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그는 지난 21일 검찰 고검검사급 인사에서 부산지검 서부지청장으로 발령을 받았다.
![]() |
대검찰청. [사진=뉴스핌DB] |
'공안통'으로 분류되는 김 기획관은 수원지검 공공수사부장검사로 재직하던 시절 이 대통령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을 수사했다. 그는 법무부 공안기획과 검사를 거쳐 박근혜정부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했으며, 이후 대검 형사정책담당관,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장검사 등을 지냈다.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수수 사건'을 수사한 김영철(51·33기) 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도 사직 의사를 전했다. 김 차장검사는 지난 인사에서 대전고검 검사로 발령났다.
검찰 내 '특수통'으로 분류된 그는 중앙지검 바다이야기 특별수사팀에 파견됐다가 서울동부·중앙지검 검사를 거쳐 2011년 대검 중앙수사부로 파견되는 등 검찰 내에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김 차장검사는 2013년 5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증권범죄합동수사단에 파견돼 일했으며, 2016년 11월에는 '국정농단 특별검사'에 또다시 파견됐다. 이후에는 대검 반부패부 파견, 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장검사, 대검 반부패부 반부패1과장 등을 지낸 뒤 북부지검 차장검사로 일했다.
'명품가방 수수 사건'에서 김건희 여사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던 김승호(50·33기) 중앙지검 형사1부장검사, 이 대통령의 측근인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금품 수수 사건에 대해 민주당 당사를 압수수색했던 호승진(50·37기) 대검 디지털수사과장도 각각 사의를 표했다.
지난 인사에서 김 부장검사는 부산고검 검사, 호 과장은 법무연수원 진천본원 교수로 각각 발령을 받았다.
이지형(49·33기) 부산지검 제2차장검사도 최근 사직 의사를 전했다. 이 차장검사는 지난해 11월 '명태균 전담 수사팀'에 파견된 이후 관련 수사를 지휘했으며, 최근 인사에서 대전고검 검사로 발령났다.
중간간부급 검사의 줄사직이 당분간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한편, 일각에선 검찰 추가 인사가 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