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부터 전 자치구·공공기관 확대
연간 1억7000만원 절감, 업무 효율↑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각종 증서를 종이 대신 모바일로 발급하는 '디지털증서' 방식을 전면 도입한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2021년부터 3년간의 시범운영을 통해 발급 편의성과 효율성을 입증한 만큼, 올해부터 본청과 사업소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자치구와 산하 공공기관으로 전면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그동안 '서울지갑' 앱을 활용한 디지털증서 발급을 꾸준히 추진했다. 총 1767건의 임명장, 임용장, 위촉장, 상장을 디지털로 발급해 발급 기간 단축과 보관·공유 편의성, 위·변조 방지 효과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이를 바탕으로 모든 부서와 자치구, 산하기관으로의 확대가 추진된다.
![]() |
서울지갑 디지털증서 4종 [자료=서울시] |
최근 3년 동안 서울시에서 발급한 증서는 연 평균 1만5000건에 달하며, 종이증서 제작·수여에는 1건당 1만1000원이 소요됐다. 이에 따라 연간 총비용이 약 1억7000만원에 이르며, 발급이 평균 5~10일 걸리는 등의 업무 부담이 있었다.
디지털증서는 '서울지갑' 앱을 통해 즉시 발급 가능하며 추가 예산이 필요 없어 효율성이 높다. 5급 이하 전보공무원의 임용장 디지털 전환만으로도 연간 약 5553만원의 예산 절감이 기대된다고 시는 덧붙였다.
시는 디지털증서 전환을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세 단계로 나누어 추진한다. 2025년에는 본청과 사업소 중심으로 시범운영을 시작하며, 지정된 부서에서 자주 발급되는 증서를 디지털로 전환할 예정이다. 2026년부터는 발급 시스템을 고도화해 자치구로 확대하고, 추가 증서 양식도 반영한다.
2027년부터는 서울시와 자치구 산하의 모든 공공기관에 디지털증서를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증서발급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발급 이력 관리·진위 검증 기능을 제공하고, 발급 권한도 각 기관이 관리하도록 한다.
시는 디지털증서 도입을 위해 기술 지원과 홍보체계를 강화하고, 이를 행정 성과지표로 활용할 예정이다. 시민 참여 캠페인을 통해 디지털증서의 필요성과 편의성을 체감하도록 유도한다. 신규 공무원·고위직 승진자 등에는 종이증서와 디지털 증서를 병행 발급해 전환 과정에서의 거부감을 줄이고 수여 문화의 품격을 유지할 방침이다.
강옥현 디지털도시국장은 "디지털증서는 효율성과 친환경, 보안성을 동시에 갖춘 혁신 행정의 대표적 사례"라며 "종이 없는 수여문화를 정착시키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행정을 실현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