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영업이익도 전년비 10.3% 증가한 5,216억 원 달성
'플랫폼 광고·커머스·핀테크'가 선장 견인
'AI'·'커머스'·'글로벌 소버린 AI 확장'으로 하반기 승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가 올해 2분기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기록하며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했다. 하반기에는 AI·커머스·글로벌 소버린 AI 확장을 앞세워 성장 모멘텀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8일 네이버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2조 9,151억 원, 영업이익 5,21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1.7%, 영업이익 10.3% 증가한 수치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 4.6%, 영업이익 3.2%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4,9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8%, 전분기 대비 17.4% 증가했다.
네이버의 2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소폭 웃돌았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제시한 네이버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 2조 9,053억 원, 영업이익 5,282억 원, 당기순이익 4,242억 원이었다. 다만 2분기 영업이익률은 17.9%로, 전년 및 전분기 대비 각각 0.2%p 하락했다.
◆ 주요 사업 부문별 고른 성장…'AI 기술 접목' 시너지 확대
네이버의 2분기 실적은 서치플랫폼과 커머스 등 주요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상승했다.
먼저 서치플랫폼 부문은 1조 36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5.9%, 전분기 대비 2.4% 성장했다. AI 기술과 광고 컨설팅 역량을 기반으로 전체 네이버 플랫폼 광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 AI를 활용한 지면 최적화가 이어지며 커머스 광고 비중도 확대됐다.
![]() |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날 열린 2025년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 브리핑이 적용된 검색 세션은 클릭률(CTR)이 기존 대비 8%p 높고, 검색 결과 체류 시간도 20% 이상 늘었다"며 "검색·콘텐츠 클릭 수 역시 통합 검색 대비 32% 높게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AI 효과는 전체 플랫폼 광고 매출 성장의 4%p를 차지했으며, 광고 효율 지표인 광고 수익률(ROAS)는 전년 대비 20% 이상, 퍼포먼스 광고주 수는 60% 이상 증가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8,6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전분기 대비 9.3% 성장했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앱의 성공적인 안착, 멤버십 및 N배송 경쟁력 강화, 커머스 광고의 지속 성장 등이 주효했다. 스마트스토어 및 크림(KREAM) 거래액 확대에 힘입어 온플랫폼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했다.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 시즌3 캠페인 효과로 멤버십 유료 이용자 수도 전년 대비 20.7% 늘었다.
핀테크 부문은 4,11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1.7%, 전분기 대비 4.8% 성장했다.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스마트스토어 성장과 외부 생태계 확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한 20.8조 원을 기록, 이 중 외부 결제액은 11.2조 원으로 전년 대비 27.1% 증가해 전체의 54%를 차지했다.
![]() |
[자료=네이버] |
콘텐츠 부문 매출은 4,74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전분기 대비 3.2% 증가했다. 웹툰 매출은 전년 대비 13.3% 늘었고, AI 콘텐츠와의 연계로 카메라 앱 유료 구독자 수가 확대되며 스노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8% 증가했다.
엔터프라이즈 부문은 1,31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으나, 일부 프로젝트 종료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분기 대비 1.9% 감소했다. 한수원 등 공공 부문 AI 관련 신규 매출 발생과 라인웍스 유료 ID의 지속 성장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 하반기 'AI'·'커머스'·'글로벌 확장'으로 성장 모멘텀 강화
네이버는 하반기에도 AI 기반 광고 최적화, 커머스 활성화, 핀테크 외부 생태계 확장을 지속한다. 최수연 대표는 "네이버 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 구축, GPU 운용,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그리고 이를 서비스에 직접 적용한 경험까지 보유한 국내 유일 사업자"라며 국내외 소버린 AI 분야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태국 소버린 LLM 개발, 모로코 AI 데이터센터 구축, 사우디 로보틱스 사업 등 글로벌 소버린 AI 사업 확대에도 속도를 낸다. 하반기에는 통합 검색 개편으로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내년에는 AI 브리핑과 대화형 검색을 고도화한 'AI 탭'을 출시할 예정이다.
![]() |
사진은 지난해 11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통합 콘퍼런스 '단 24' 현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발표 중이다. [사진=네이버] |
또한 네이버는 컬리·CJ대한통운과 협력해 새벽배송을 도입하고 콜드체인 배송을 강화, '쇼핑 첫 목적지' 입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연내에는 쇼핑 AI 에이전트를 출시해 오프라인 전문 판매원처럼 개인 맞춤형 탐색·구매 결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최근 지분을 추가 확보한 스페인 C2C 플랫폼 '왈라팝'을 통해 유럽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왈라팝에 네이버의 검색·광고 기술을 접목해 성과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AI·클라우드 역량을 바탕으로 사우디의 세계 도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주택부와의 합작법인 추진, 뉴 무라바 신사옥의 서비스 로봇 도입 등 글로벌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다. 앞으로는 MIT와의 휴머노이드 연구 협력, 대만·일본 AI 서비스 진출 등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최수연 대표는 "네이버가 보유한 독자적인 데이터 역량과 하이퍼클로바X 개발 경험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제휴와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병행하는 데 큰 강점"이라며 "사우디, 동남아 등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국가들의 수요에도 적극 대응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자신감을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