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밀어내기' 미 정치판 흔들어
포드부터 코카콜라까지 '비상'
관세 인상 고스란히 물가 상승으로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을 대상으로 내달 시행하기로 한 25%의 관세는 중국 때리기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캐나다가 대미 철강 수출 1위에 랭크됐지만 미국의 칼 끝이 향한 곳은 중국이라는 얘기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물량이 제한적이지만 중국의 과잉 공급이 전세계 철강 가격을 떨어뜨리고 궁극적으로 펜실베니아를 포함한 표밭을 강타하자 트럼프 행정부가 대응에 나섰다는 것.
주요 수출국에 커다란 타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기업들도 비상이다. 제조업부터 석유가스 업계까지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후폭풍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번지고 있다.
◆ 중국 철강, 어떻게 미국 정치판 흔들었나 =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1월 기준 대미 철강 수출 상위 5개국은 캐나다와 브라질, 멕시코, 한국, 독일 순으로 파악됐다. 중국은 톱5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미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를 최대 25% 인상한 데 따라 거래가 위축된 결과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관세 결정이 중국을 겨냥했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는 이유는 우회적인 영향력이 작지 않은 데다 표밭까지 흔들고 있기 때문이다.
![]() |
중국 최대 국유 철강 업체인 바오스틸의 철강 생산공장 [사진=업체 제공] |
수 년째 지속되는 건설 부동산 업계의 위기로 인해 중국의 국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요는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때문에 업체들은 수출을 늘리는 데 사활을 걸었고, 특히 저가 제품을 캐나다와 멕시코를 포함한 미국 동맹국에 대량 공급했다. 캐나다는 저렴한 중국산 철강을 국내에서 소비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자국 철강 중 상당 물량을 미국에 수출했다.
중국의 수출 확대에 미국의 철강 업계와 노조는 크게 반발한다. 전미철강노조의 마이클 위셀 자문관은 뉴욕타임스(NYT)와 인터뷰에서 "중국의 과잉 생산이 미국 철강 업계와 노동자들에게 심각한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건설 부동산 시장의 한파에 위기를 맞은 중국 철강 업계가 연이어 가격을 낮추며 밀어내기식 수출에 나서면서 최근 수 년간 추세적인 가격 하락이 두드러졌다. 월가에서는 중국발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종료됐다는 진단도 나왔다.
중국 주도의 글로벌 철강 가격 하락은 US 스틸이 위치한 펜실베니아와 피츠버그 등 주요 생산 지역의 표심을 크게 냉각시켰다. 중국의 저가 철강 제품이 미국 정치판을 흔들었다는 얘기다.
미국 철강연구소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미 제강 공장의 가동률은 74.4%로 집계됐다. 이 마저도 정부의 보호주의 무역 정책으로 개선된 수치다. 1940년대 전세계 철강의 절반 가량을 공급했던 미국의 시장 점유율은 5% 아래로 떨어졌다.
◆ 철강 관세 파장 일파만파 =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는 수출국 뿐 아니라 미국 기업들에게도 작지 않은 충격을 가할 전망이다.
자동차와 건설을 포함해 철강과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제조업계는 물론이고 그 밖에 산업까지 작지 않은 후폭풍을 예고했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월11일(현지시각) 자동차 업계 컨퍼런스에서 커다란 비용과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 의회에 적극적인 로비를 벌일 것이라는 입장도 함께 밝혔다.
미국은 철강과 알루미늄 순 수입국이다. 관세가 고스란히 미국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미 미국 중서부 지역 공장들이 런던 시세 대비 추가로 지불하는 알루미늄 가격이 최근 급등했다.
시장 조사 업체 팩트셋과 런던금속거래소에 따르면 3월물 선물에 대한 중서부 프리미엄, 즉 운송비와 세금, 그 밖에 비용을 모두 포함하는 프리미엄이 1월 말 이후 25% 뛰었다. 수치가 미국 기업들 사이에 벤치마크라는 점에서 최근 동향에 관련 업계의 시선이 집중됐다.
뿐만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를 처음 언급한 이후 지난 3주간 미국 내 철강 가격의 상승 추세가 두드러진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블룸버그] |
시장 전문가들은 철강의 경우 직접 수입하지 않는 기업들도 국내 제철소의 가격 인상으로 인해 관세의 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한다.
팩트셋에 따르면 철강 가격의 기준이 되는 열연코일의 선물 가격이 1월 말 이후 톤 당 70달러 급등하며 850달러까지 뛰었다.
◆ 인플레 재점화 경고음 = 비상이 걸린 것은 자동차 업계만이 아니다. 코카콜라는 전세계 음료 포장의 26%를 알루미늄 캔으로 사용한다. 제임스 퀸시 최고경영자(CEO)는 알루미늄 수입 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플라스틱 병의 사용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비용 상승을 모두 상쇄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전력 부문의 주요 업체들과 애널리스트 역시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가 에너지 가격을 떨어뜨리고 공급을 늘린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 이행을 어렵게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에너지 업계가 원유나 가스 탐사와 시추, 송유관 및 가스관 운영, 그리드 인프라까지 전분야에 걸쳐 철강과 알루미늄을 대량 사용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부문 역시 패널을 포함한 제품 생산과 인프라 구축에 철강과 알루미늄이 필수 원자재다.
에너지 산업 컨설팅 업체인 우드 맥킨지에 따르면 미국 가스관이나 송유관, 그 밖에 유정 굴착에 사용하는 금속 제품 가운데 수입품의 비중이 40%에 이른다.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가 1월 기준 16%의 비중을 나타냈다.
우드 맥킨지의 나단 네메스 애널리스트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를 갖고 "캐나다와 멕시코 이외의 지역까지 관세를 물리면 미국에 비용 측면의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디애나주 소재 LCI 인더스트리스는 금속 상품에 대한 관세와 중국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가 맞물리면 이익률을 크게 떨어뜨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경영자들은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비용을 일정 부분 거래 업체들과 소비자들에게 전가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뉴욕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5년 뒤 미국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전망을 나타내는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3%까지 상승, 2024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