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 ㉚2025학년도 건국대 수시등급 및 지원전략

기사입력 : 2024년08월07일 08:00

최종수정 : 2024년08월07일 08:00

김형일 거인의어깨 대표

'거인의어깨'는 교육 1번지 대치동에서 24년째 입시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는 입시컨설팅 전문회사입니다. 24년간의 축적된 데이터와 다양한 입시경험을 통해 뉴스핌에 연재하는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은 김형일대표가 전국 수험생 및 그 학부모님들을 위해 올바른 입시전략을 제시하는 입시칼럼입니다.

건국대는 올해 2025학년도 수시에서 1,955명을 선발하는데, 학생부교과전형인 'KU지역균형' 470명, 학생부종합전형인 'KU자기추천' 813명, 논술전형 'KU논술우수자' 395명 등을 선발한다.

올해 지원시 주의할 점은 첫째, '부전공 및 단과대 자유전공학부 신설'로 '단과대 자유전공학부 선택 불가 모집단위로'는 '문과대학 자유전공학부'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사회과학대학 융합전공학부'는 '경제학과', '생명과학대학 자유전공학부'는 '식량자원과학과', '공과대학'은 '신산업융합학과, K뷰티산업융합학과(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으로만 선발)'이고, 'KU자유전공학부(무전공) 선택 불가 모집단위'는 '수의과대학, 예술디자인대학, 사범대학의 전체 모집단위', '공과대학'은 '신산업융합학과, K뷰티산업융합학과(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으로만 선발)'이다. 둘째, '논술(KU논술우수자) 수능최저학력기준 반영과목 변경'으로 '탐구 선택과목 지정을 폐지하여 사/과탐 2과목을 응시하여 그중 높은 1과목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인문‧자연' 모두 '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1) 중 2개 등급 합 5'로 바뀌었고, '수의예과'만 '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1) 중 3개 등급 합 4'이고, '공통'으로 '한국사 5등급이내'이다.

건국대는 수험생들 사이에서 상당히 인기가 높은 대학이다. 'KU지역균형', 'KU자기추천'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기 때문에 수능에 대한 부담 없이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학으로 수험생이 갖고 있는 내신성적의 상황에 따라 'KU지역균형', 'KU자기추천' 순으로 지원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고 이 또한 여의치 않는 경우는 KU논술우수자를 본인의 수능최저학력기준 달성여부를 판단하며 적극 공략할 필요성이 있다.

김형일 거인의어깨 대표.


◆ 건국대 수시등급 및 지원전략

1. 학생부교과전형 'KU지역균형'

(1) 학생부교과전형 'KU지역균형'으로 470명을 선발하는데, '학생부교과(정량) 70%+학생부교과(정성) 30%'로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이 선발한다. '정성평가'는 학생부에 있는 '교과학습발달상황' 항목만 반영하며, '학업역량 20%+진로역량 10%'을 반영한다.

(2) '인문계' '전년도 합격자 70% Cut 내신성적'은 '(국어국문학과) 1.77~(철학과) 2.26등급'이었으며, 나머지 학과로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1.78등급, 경제학과 1.87등급, 영어영문학과 1.90등급, 사학과/응용통계학과 1.92등급, 융합인재학과 2.00등급, 행정학과 2.03등급, 경영학과/영어교육과 2.04등급, 기술경영학과 2.07등급, 국제무역학과 2.10등급, 중어중문학과/지리학과/정치외교학과/부동산학과 2.12등급, 글로벌비즈니스학과 2.19등급, 문화컨텐츠학과 2.20등급, 일어교육과 2.21등급'이었다.

(3) '자연계' '전년도 합격자 70% Cut 내신성적'은 '(수의예과) 1.08~(스마트운행체제공학과) 2.27등급'이었으며, 나머지 학과로는 '융합생명공학과 1.52등급, 줄기세포재생공학과 1.57등급, 화학과 1.64등급, 축산식품생명공학과 1.65등급, 시스템생명공학과 1.67등급, 생명과학특성학과 1.70등급, 동물자원과학과 1.71등급, 미래에너지공학과 1.73등급, 컴퓨터공학부/생물공학과/스마트ICT융합공학과 1.75등급, 화학공학부 1.78등급, 수학교육과 1.81등급, 식량자원과학과 1.84등급, 식품유통공학과 1.85등급, 화장품공학과 1.88등급, 전기전자공학부 1.89등급, 환경보건과학과 1.91등급, 산업공학과/산림조경학과 1.92등급, 사회환경공학부/기계항공공학부/물리학과 2.00등급, 수학과 2.12등급, 건축학부 2.24등급'이었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열린 4일 서울 여의도여자고등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이 1교시 국어 영역 답안지에 이름을 쓰고 있다. 2024.06.04 photo@newspim.com

2. 학생부종합전형 'KU자기추천'

(1) 학생부종합전형인 'KU자기추천'으로 813명을 선발하는데, '1단계(3배수): 서류평가 100%, 2단계: 1단계 성적 70%+면접평가 30%'로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이 선발한다.

(2) '인문계' '전년도 합격자 70% Cut 내신성적'은 '(영어교육과) 2.19~(일어교육과) 4.43등급'이었으며, 나머지 학과로는 '융합인재학과 2.24등급, 경영학과 2.31등급,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39등급, 정치외교학과 2.43등급, 사학과 2.44등급, 경제학과 2.48등급, 응용통계학과 2.50등급, 문화컨텐츠학과 2.52등급, 행정학과 2.55등급, 국어국문학과 2.57등급, 교육공학과 2.59등급, 국제무역학과 2.79등급, 기술경영학과 2.95등급, 철학과 3.00등급, 부동산학과 3.14등급, 지리학과 3.25등급, 중어중문학과 3.60등급, 영어영문학과 4.19등급, 글로벌비즈니스학과 4.42등급'이었다.

(3) '자연계' '전년도 합격자 70% Cut 내신성적'은 '(생물공학과) 1.85~(화장품공학과) 3.69등급'이었으며, 나머지 학과로는 '융합생명공학과 1.93등급, 화학과 2.00등급, 산업공학과 2.12등급, 화학공학부 2.19등급, 미래에너지공학과 2.22등급, 전기전자공학부 2.25등급, 컴퓨터공학부 2.27등급, 스마트ICT융합공학과 2.31등급, 물리학과 2.33등급, 동물자원과학과 2.35등급, 의생명공학과 2.36등급, 수학교육과 2.39등급, 수학과 2.42등급, 축산식품생명공학과 2.44등급, 기계항공공학부 2.45등급, 시스템생명공학과 2.46등급, 스마트운행체제공학과 2.48등급, 식량자원과학과 2.50등급, 생명과학특성학과 2.57등급, 식품유통공학과 2.78등급, 환경보건과학과 2.81등급, 사회환경공학부 2.92등급, 건축학부 2.97등급, 산림조경학과 3.04등급, 수의예과 3.17등급, 줄기세포재생공학과 3.32등급'이었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열린 4일 서울 여의도여자고등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이 1교시 국어 영역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2024.06.04 photo@newspim.com

3. 논술전형 'KU논술우수자'

(1) 논술전형인 'KU논술우수자'로 395명을 선발하는데, '논술 100%'로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인문/자연(수의예과 제외)/KU자유전공학부'은 '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1과목) 중 2개 등급 합이 5 이내', '수의예과'는 '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1) 중 3개 등급 합 4 이내'이고, '공통'으로 '한국사 5등급이내'이다.

(2) '논술' 시험시간은 100분으로 계열 상관없이 동일하고, '인문사회Ⅰ'은 '문과대학'이 2문항, 국어, 사회교과 분야 진문을 바탕으로 이해력, 분석력, 논증력, 창의성, 표현력 등을 평가하고, '인문사회Ⅱ'은 '사회과학대학/경영대학/부동산과학원'이 4문항, 국어, 사회교과 분야 지문을 바탕으로 이해력, 논증력, 표현력 등을 평가하고, 수리적 분석을 요하는 자료를 통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한다. '자연'은 '자연계열' 전체가 4문항, 사고와 추론의 최종적 결과물 뿐 만아니라 추론과정까지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되고, 다양한 내용의 지문을 바탕으로 통합적 이해력, 논증력, 표현력, 추론능력을 평가하며, 'KU자유전공학부'는 4문항, 고교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수리, 자연계관련 지문 제시, 이를 근거로 출제되고, 사고와 추론의 최종적 결과물 뿐 만아니라 추론과정까지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된다.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