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오피니언 내부칼럼

속보

더보기

[ANDA 칼럼] "오사카 여행 간다고?...이 정도는 알고 가셔"

기사입력 : 2023년07월05일 10:34

최종수정 : 2023년07월05일 16:32

[서울=뉴스핌] 오영상 국제부장 = 요즘 주위에서 일본 오사카(大阪)로 여행 간다는 사람들을 심심찮게 본다. 전에는 일본 여행하면 도쿄(東京)였는데 최근에는 오사카가 도쿄 인기를 뛰어넘은 듯하다. TV홈쇼핑에도 오사카 여행 상품이 연일 방송을 탄다. 며칠간의 짧은 여행이라도 오사카에 대해 이 정도는 알고 가자. 아는 만큼 보이듯 오사카 여행이 좀 더 재밌어질 수도 있다.

오사카는 도쿄와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도시다. 역사적으로도 도시의 규모로도 일본을 대표하는 곳임에는 이견이 없다. 일본의 공식적인 수도는 도쿄이지만 일부에서는 동쪽의 수도는 '도쿄', 서쪽의 수도는 '오사카'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그만큼 양 도시의 자존심 싸움도 대단하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프로야구다. 도쿄를 연고지로 하는 '요미우리(読売) 자이언츠'와 오사카를 연고지로 하는 '한신(阪神) 타이거스'는 일본 프로야구에서 대표적인 라이벌로 꼽힌다. 다른 팀에게는 져도 서로에게는 지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마치 축구 한·일전 경기를 본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일본에서 전국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구단이지만 오사카에서만큼은 비인기 구단이다. 한신 타이거스의 홈구장인 고시엔(甲子園) 구장에서 요미우리를 응원하다 뺨을 맞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여행 중 오사카 사람과 친해질 인연이 생긴다면 절대 요미우리 칭찬은 하지 말기를.

[오영상 국제부장]

일본 본토를 흔히 '간토(關東)'와 '간사이(關西)'로 나눠 부르는데. 이 또한 도쿄와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지역 기반을 확대한 개념이다. 도쿄를 중심으로 지바(千葉)현, 가나가와(神奈川)현, 사이타마(埼玉)현, 이바라키(茨城)현, 도치기(栃木)현, 군마(群馬)현을 아울러 간토 지방이라고 부른다. 반면 오사카를 중심으로 미에(三重)현, 시가(滋賀)현, 교토(京都)부, 효고(兵庫)현, 나라(奈良)현, 와카야마(和歌山)현을 합쳐 간사이 지방이라고 부른다.

두 지역 간 경쟁의 발단은 꽤나 먼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 혼란스러웠던 일본의 전국시대를 끝내고 통일을 이룬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오사카성을 짓고 오사카를 수도로서 활용했다. 이를 계기로 오사카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며 천년의 도읍지 교토, 나라 등과 간사이 지방의 번영을 함께하게 된다.

그러나 도요토미가 죽은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실권을 잡고 1603년 자신의 주거지였던 지금의 도쿄 지역 '에도(江戶)'를 거점으로 새로이 에도 막부(幕府) 시대를 열게 된다. 이로써 모든 중심이 일거에 에도로 옮겨지게 되고, 오사카는 천 년의 영광을 고스란히 도쿄에 넘겨주게 된다.

오사카, 교토, 나라가 일본 역사 속에서 오랜 기간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는 점을 생각하며 오사카 사람들이 느꼈을 상실감도 이해할 만하다. 그들의 눈에 당시 에도(도쿄)는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는 시골 촌구석에 불과했을 것이다. 그래서 지금도 오사카에서는 도쿄를 깔보는 투로 '도쿄에 뭐가 있겠나' 등의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도쿄에서는 오사카 사람들에 대해 '과거에 사로잡힌 채 시기만 한다'고 응수한다.

사람들의 성격도 많이 다르다고 여겨진다. 대체적으로 오사카 사람들의 이미지는 '시끄럽다', '화려하다', '감정적이다', '유머러스하다', '낙천적이다' 등이다. 그래서인지 연예인이 많고 특히 개그맨 중에는 오사카 출신이 유독 눈에 띈다. 반면 도쿄 사람들은 '개인주의', '원칙주의', '조용하다', '소박하다', '소심하다', '이성적이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일본인의 이미지가 떠올려진다.

오사카가 도쿄와 다른 것은 이 정도가 아니다. 언뜻 봐도 차이를 알 수 있는 것에서부터 이 정도까지 다른가 하고 다시 한 번 쳐다보게 만드는 것도 있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이 지하철 역 등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는 법이다. 도쿄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탈 때 사람들이 왼쪽에 선다. 반면 오사카에서는 오른쪽에 선다. 오사카와 도쿄의 차이를 명확히 보여주는 한 장면이라 할 만하다. 한쪽을 비워두는 것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걸어 올라갈 사람을 배려한 것이다.

택시의 색깔도 확연히 차이가 난다. 도쿄에서는 노랑색, 주황색, 녹색 등 컬러풀하면서도 다양한 색의 택시가 많고, 오사카에서는 검은색 택시가 일반적이다. 정확한 이유는 없지만 교통량이 많은 도쿄에서는 구별이 쉽고 눈에 잘 띄도록 택시 색깔을 다양하게 했고, 오사카에서는 검은색이 고급 차라는 인식에서 늘어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똑같은 상품인데 오사카와 도쿄에서 다르게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유명 컵 우동 '돈베에(どん兵衛)'는 각각 판매되는 상품의 맛이 완전히 다르다. 도쿄에서는 가다랑어포 국물 맛을 팔고, 오사카에서는 다시마 국물 맛을 판매한다. 국물 색깔도 다르다. 도쿄 쪽은 간장색이고, 오사카는 맑은 색이다. 제품의 용기와 뚜껑에는 작은 글씨로 'E'와 'W'라고 표기돼 있다. E는 EAST로 도쿄를 의미하고, W는 WEST로 오사카를 나타낸다.

우리나라에서도 즐겨 먹는 달걀이 들어간 '에그 샌드위치'도 모양이 전혀 다르다. 도쿄에서는 에그 샐러드를 빵 사이에 넣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오사카에서는 두툼하게 구워낸 달걀말이를 끼워 넣는 것이 정통이다. 유부초밥의 모양새도 다르다. 도쿄에서는 타원형 모양으로, 오사카에서는 삼각형 모양으로 만든다.

하지만 '도쿄 vs 오사카' 구도에 정치색은 섞여 있지 않다. 지역감정이라는 프레임을 씌우지 말고 도쿄와 다른 점을 찾아보면서 오사카 여행을 즐겨보자. 한 스푼의 양념으로 여행이 더욱 맛있어질 수 있다.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