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코펜하겐 해수풀장 방문해 구상 밝혀
이촌한강공원에 5000㎡ 규모 '한강 아트피어' 조성
수상레저 거점, 문화·예술 명소...2026년 준공 목표
[덴마크 코펜하겐=뉴스핌] 정광연 기자 = 한강위에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부유식 수영장'이 들어선다. 문화·예술·레저가 어우러진 복합 마리나시설 '한강 아트피어'를 구축해 시민들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유럽출장 중인 오 시장은 현지시간 19일 덴마크 코펜하겐 브뤼게섬 관광명소인 '해수풀장(하버배스, Harbour bath)'을 방문해 이같은 구상을 밝혔다.
![]() |
오세훈 시장이 현지시간 19일 덴마크 코펜하겐 관광명소인 부유식 수영장 '하버베스'를 방문해 야곱 스코올라 담당매니저의 설명을 듣고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뉴스핌] 정광연 기자 = 2023.03.21 peterbreak22@newspim.com |
부유식 수영장은 육상이 아닌 물 위에 떠있는 형태로 시설을 만들어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특히 수상자연경관을 활용할 수 있어 코펜하겐을 비롯해 프랑스 파리 센강(조세핀베이커풀), 독일 베를린 슈프레강(바데시프) 등 주요 도시에서도 운영중이다.
이날 방문한 하버배스는 2003년 코펜하겐시(市)에서 직접 예산을 투입해 조성한 덴마크 최초의 부유식 공공수영장으로 연평균 30만명이 방문하는 관광명소다. 1600㎡ 규모로 2개 수영장(수영용, 어린이전용)을 갖췄으며 수용인원은 최대 600명이다.
건설비는 60억원 가량이며 연간 유지비로 2억4000만원 가량이 소요된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수질을 파악하고 있으며 안전요원에 상주한다. 수영장 인근에 파도(물살)을 막는 장비를 설치하고 하단부에 그물막을 설치하는 등 안전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오 시장은 "가족 단위로 한강에 나와서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많이 만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가장 유효적절한 방법이 수영장이 될 것 같다. 요트, 보트 계류장 옆에 카누 같은 것을 즐길 수 있는 시설과 함께 수영장도 만들어서 가능하면 사계절 즐길 수 있는 걸 하고 싶다"고 밝혔다.
하버배스를 벤치마킹해 야외 수영장의 개방감과 한강에서 수영하는 듯한 이색 경험을 할 수 있는 관광명소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부유식 수영장은 900㎡ 규모이며, 25m 레인, 어린이풀, 온수풀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 |
덴마크 코펜하겐 관광명소인 부유식 수영장 '하버베스' 전경. [덴마크 코펜하겐=뉴스핌] 정광연 기자 = 2023.03.21 peterbreak22@newspim.com |
오 시장은 하버배스 뿐 아니라 8하우스, VM하우스, 어반리거(부유식대학생기숙사) 등을 방문해 야외경사로와 어우러진 옥상녹화, 폐컨테이너를 활용한 바다 위 기숙사 등 혁신적인 건축디자인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한 사례도 확인했다.
서울시는 뷰유식 수영장을 시작으로 수상레저뿐와 사계절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복합 공간인 '한강 아트피어(가칭)'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
이촌한강공원에 새롭게 탄생할 한강 아트피어는 부족한 선박 공공 계류시설을 확충해 증가하는 수상레저 수요를 충족할 뿐 아니라 문화·예술·레저가 어우러진 복합 마리나시설을 조성해 다양한 매력의 한강을 사계절 즐길 수 있도록 설계한다.
대상지는 이촌한강공원 내 청소년 수상체험 및 교육장으로 운영 중인 거북선나루터 자리다. 연면적 5000㎡ 규모의 수상 건축물을 비롯해 부유식 수영장(900㎡), 선박 계류시설(50선석), 공연장, 전시공간 등이 포함된다.
한강 아트피어 조성비용은 약 300억으로 시는 올해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를 실시한 후 이르면 2025년 조성 공사에 착공, 2026년 시민들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한강 아트피어' 조감도. [사진=서울시] 정광연 기자 = 2023.03.21 peterbreak22@newspim.com |
한강 곳곳에 부유식 수영장과 요트, 패들보드, 수상스키 등 다양한 수상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는 마리나시설을 단계적으로 확충해 관광 명소화한다는 목표다.
오 시장은 "한강에서 그냥 수영도 하지만 부유식 수영장을 만들면 어린이들 같은 경우에는 마실수도 있기 때문에 (수질을) 조금 더 고민을 해보겠다. 정수를 한번 해서 그 물을 써야할지 아니면 그대로 한강물을 쓸 수 있는지는 전문가 도움을 받아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