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亞 최대 아트축제, '키아프 플러스'까지…"문화 경계 넘나들 것"

기사입력 : 2022년08월22일 16:00

최종수정 : 2022년08월22일 16:00

뉴미디어 아트·NFT 등 다양한 장르, 신진작가 작품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키아프 서울과 프리즈 서울, 그리고 '키아프 플러스'가 서울에 모여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미술 이벤트를 개최한다.

안진옥 홍보이사는 22일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컨퍼런스하우스달개비에서 '키아프x프리즈 합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키아프 플러스에서는 뉴미디어 아트와 NFT 등 다양한 장르와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제21회 키아프 서울…첫 선 보이는 키아프 플러스

올해 개최되는 제21회 키아프 서울은 17개의 국가와 지역에 소재한 164개 갤러리가 참가한다. 첫 해를 맞이하는 키아프 플러스는 5년 이하의 젊고 도전적인 갤러리의 참가 비율을 높이고, 현대미술은 물론 미디어(디지털) 아트와 NFT 등 다양한 장르를 선보일 11개 국가와 지역에 소재한 73개 갤러리가 참가한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지난해 개최된 키아프2021 [사진=키아프] 2022.08.22 alice09@newspim.com

이날 안 이사는 "키아프 플러스의 하이라이트 작가로는 엘리제네의 타이나 말모레호, 실린더에서 선보이는 트리스탄 피곳, 독일 아카데미 빌라 마시모에서 로마 펠로십 상을 수상한 옵스큐라의 베네딕트힙 등이 있다"고 밝혔다.

제21회 키아프 서울은 올해도 최고의 작가 라인업을 자랑한다. 아시아에서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국제아트페어인 만큼 전세계 갤러리의 아시아 작가들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가나아트는 김구림 작가의 작품을, 국제갤러리는 장-미셸 오토니엘 작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갤러리현대는 한국 아방가르드 전위예술가 이건용 작가의 작품을, 동산방화랑은 자개를 캔버스에 한 조각씩 붙여 고목의 풍경을 그려내는 박희섭 작가의 작품을 전시한다.

이외에도 이화익갤러리는 김미영 작품을, 웅갤러리는 장광범, 채색화의 대가 박생광 작가의 작품은 주영갤러리에서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제갤러리서 선보이는 장-미셸 오토니엘 작품 [사진=키아프] 2022.08.22 alice09@newspim.com

올해 토크 프로그램은 키아프와 프리즈의 공동기획으로 구성된다. 코엑스 2층 스튜디오 159에서 내달 3일부터 3일간 진행되는 토크 프로그램은 '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미술,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9개 토크가 운영된다.

안 이사는 토크 프로그램에 대해 "이를 통해 팬데믹 이후 변화한 미술시장을 반추하고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방안, 그리고 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토크로 어떻게 영역을 확장하고 성장해 나가게 될지를 예측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키아프 이사회 측은 "참신한 작가, 정체성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신진 작가와 기성작가의 신작을 주로 선보이는 것에 차별성을 뒀다. 또 미래지향적인 작품을 선보이려고 한다"고 말했다.

키아프 서울과 플러스는 오프라인 전시와 동시에 온라인 뷰잉룸을 오픈한다. 이와 관련해 안 이사는 "참여 갤러리와 출품작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으며 작품 또한 구매 가능하다"라며 "회화, 사진, 조각 NFT까지 작품 장르에 따른 필터 검색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프리즈 서울…전 세계 21개국‧110여개 유수 갤러리 참여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에서는 유명 작가들부터 오늘날 가장 흥미로운 신진 작가들까지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포커스 아시아' 섹션에서는 아시아 갤러리 중 12년차 이하의 젊은 갤러리들이 그 지역의 저명한 작가들의 작품과 성과를 조명한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엘리제레 #1 - Tania Marmolejo, A Not So Chance Encounter, 2021, oil on canvas, 58 x 48 in. (148 x 122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ELIGERE.[사진=키아프] 2022.08.22 alice09@newspim.com

'프리즈 마스터스' 섹션에서는 고대 예술작품부터 20세기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작품을 선보인다. 네이선 클레멘트 길레스피 디렉터는 "올해는 '프리즈 마스터스' 페어 10주년이자, 아시아에 처음 데뷔하는 매우 중요한 해"라고 설명했다.

'프리즈 서울' 디렉터를 맡은 패트릭 리는 "이번 '프리즈 마스터스' 섹션에는 세계 정상급의 갤러리가 참여한다. 특히 많은 갤러리가 서울에 처음 방문하는데 주요한 역사적 작품들과 현대미술 작품의 결합을 시도하고 문화적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해외 많은 기관이 많이 올 거라고 기대하고 있다. 서울이라는 도시 자체가 가진 매력 덕분에 성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장소가 주는 장점이 합쳐지면서 첫 회인 만큼 기관에서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옵스큐라 #1- Benedikt Hipp, ENS, 2021, Oil and varnish on wood, 35.5×26×2cm [사진=키아프] 2022.08.22 alice09@newspim.com

프리즈 서울 역시 온라인 뷰잉룸을 선보인다. 뷰잉룸에서는 예술계를 선도하는 가상 현실 플랫폼 볼틱과 협력해 최첨단 몰입형 기술을 사용해 처음으로 VR 공간을 만든다. 해당 공간은 프리즈 뷰잉룸 플랫폼 내에 위치하며, 오큘러스 VR 헤드셋을 통해 볼 수 있다. 한국 갤러리를 포함한 15개 이상 갤러리가 참여할 예정이다.

한편 키아프 서울은 내달 3일부터 6일까지 코엑스 A&B홀과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되며, 키아프 플러스는 대치동에 위치한 세택(SETEC) 1~3 전시실에서 내달 2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