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연간 및 4분기 해외직접투자 동향
"2분기부터 투자 회복…해외직접투자 증가"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작년 해외직접투자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계 백신 보급 등에 따른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우려 완화로 2분기부터 투자가 회복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1년 연간 및 4분기 해외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작년 해외직접투자액은 758억7000만달러로 전년(571억3000만달러) 대비 32.8%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 작년 해외직접투자 758.7억달러…금융보험·정보통신업 투자 활발
해외직접투자액에서 회수금액(지분 매각, 청산 등)을 차감한 순투자액도 584억2000만달러로 전년(422억9000만달러) 대비 38.1%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기재부 측은 "전세계 백신 보급 등에 따른 팬데믹 우려 완화로 2분기부터 투자가 회복하면서 해외직접투자도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 연도별 해외직접투자 동향 (억불, 전년 대비 %) [자료=기획재정부] 2022.03.23 jsh@newspim.com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293억2000만달러, 전년 대비 58.5%), 제조업(181억7만달러, 38.5%), 부동산업(70억1000만달러, -9.1%), 정보통신업(66억7000만달러, 64.3%), 도소매업(35억9000만달러, 21.3%) 순이다.
특히 주요 투자업종인 금융보험업, 제조업과 소프트웨어 투자 등에 따른 정보통신업 투자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역별 투자액은 북미(302억9000만달러), 아시아(183억3000만달러), 중남미(127억2000만달러), 유럽(123억3000만달러), 대양주(16억6000만달러), 아프리카(3억1000만달러), 중동(2억3000만달러) 순이다.
국가별로는 미국(275억9000만달러, 81.8%), 케이만군도(106억3000만달러, 57.1%), 중국(66억7000만달러, 47.8%), 룩셈부르크(43억7000만달러, 59.2%) 등 금융보험업과 제조업의 주요 투자처에 대한 투자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반면 캐나다(27억달러, -8.5%)는 대형 투자가 이뤄졌던 2020년 대비 기저효과로 다소 감소했다.
투자회수금액은 금융보험업(61억9000만달러), 제조업(39억3000만달러), 부동산업(24억1000만달러) 순이다. 국가별로는 미국(41억1000만달러), 케이만군도(29억2000만달러), 중국(26억9000만달러) 순이다.
◆ 작년 4분기 해외직접투자 302.1억달러…3분기 연속 증가세
지난해 4분기 해외직접투자액은 총투자액 기준 302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62.7% 증가했다. 순투자액은 260억6000만달러로 82.7% 증가했다. 지난해 2분기부터 3분기 연속 증가세다.
![]() |
| 분기별 해외직접투자액 추이(억불, 전년동기 대비, %) [자료=기획재정부] 2022.03.23 jsh@newspim.com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104억6000만달러, 76.8%), 제조업(82억2000만달러, 97.8%), 정보통신업(38억4000만달러, 398.2%), 부동산업(23억4000만달러, -33.3%), 전기가스업(14억2000만달러, 73.0%) 순이다.
지역별로는 북미(106억7000만달러, 75.3%), 아시아(75억6만달러, 27.7%), 중남미(58억3000만달러, 178.8%), 유럽(56억7000만달러, 39.9%), 대양주(3억3000만달러, 3.7%), 중동(1억2000만달러), 694.6%) 순이다.
국가별로는 미국(100억3000만달러, 83.4%), 케이만군도(50억7000만달러, 192.4%), 중국(35억1000만달러, 120.1%), 룩셈부르크(17억1000만달러, 21.2%), 프랑스(10억4000만달러, 6175.5%) 순이다.
투자회수금액은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13억8000만달러), 부동산업(8억2000만달러), 제조업(7억7000만달러) 순이고, 국가별로는 미국(11억4000만달러), 호주(4억6000만달러), 케이만군도(4억4000만달러) 순이다.
js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