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조용준의 콘비벤시아 스페인] ‘혼혈의 땅’의 시작

기사입력 : 2019년05월24일 08:01

최종수정 : 2019년05월24일 08:01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많은 사람들이 스페인을 찾는다. 저마다 이유는 다르다. 그저 이국적 풍광이 좋아서일 수도 있고, 산티아고 순례자의 길에 이끌릴 수도 있다. 스페인의 음식과 플라멩코, 투우도 매력적이다. 그런데 우리는 과연 스페인을 얼마나 알고 가는 것일까. 우리는 지금 스페인이 '혼혈의 나라'라는 사실을 곧잘 망각한다. 스페인이야말로 기독교와 이슬람 문화의 혼혈로 이뤄진 나라다. 이 사실을 무시한 채 들여다보는 스페인은 겉껍데기일 따름이다. 스페인 문화의 기저에 있는 '콘비벤시아', 즉 관용과 화합의 정신을 모른다면, 사실상 올바른 스페인 읽기는 실패한 것이다. 콘비벤시아 스페인. 그 기층문화의 세계로 걸어들어가보자.

스페인을 포함해 이베리아 반도는 문명 이식의 역사다. 켈트, 페니키아, 그리스, 카르타고 문명이 차례로 전해졌고, 기원전 2세기에는 로마제국에 속했다. 이 땅에 기독교가 전파된 것은 2~3세기쯤으로 보고 있다.

로마 멸망 이후에는 수에비, 반달, 일라노 등 여러 게르만 민족이 침입했다. 반달족은 409년 이베리아 반도를 침입해 427년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북아프리카 카르타고까지 진출했고, 게르만족 일파로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부터 따뜻한 곳을 찾아 남하해온 서 고트(Visigoth) 족은 이들을 제압하고 507년 왕국을 건설했다.

특히 포르투갈 남부 알가르브(Algarve) 지방과 스페인 안달루시아(Andalucia) 지방은 대표적인 ‘혼혈의 땅’이다. 안달루시아라는 말부터가 반달족이 살고 있는 곳이란 뜻의 아랍어 ‘알 안달루스(Al-Andalus)’에서 나왔다. 포르투갈의 알가르브 역시 ‘서쪽’을 뜻하는 아랍어 ‘알 가르브(al-gharb)’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이곳을 점령한 북아프리카 무어인들은 스페인 세비야를 중심으로 서쪽(포르투갈)을 ‘알 가르브 알 안달루스(al-Gharb al-Andalaus)’ 즉, ‘서부 안달루시아’로 불렀고, 이 호칭이 오늘날 지역 명칭으로 굳어졌다.

711년은 스페인과 포르투갈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연도라고 할 수 있다. 아랍인에 의한 이베리아 반도 정복이 바로 그해에 시작됐다. 지금의 시리아 다마스쿠스(Damascus)를 도읍지로 하고 이란에서부터 모로코까지 방대한 왕국을 건설했던 이슬람 우마야드(Umayyd) 왕조(661~750)의 6대 칼리프 알 왈리드 1세(Al-Walid. Abd al-Malik, 668~715)는 그 해 타리크 이븐 지야드(Tariq Ibn Zyad) 장군에게 이베리아 침공을 명령한다.

이에 타리크 장군은 막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시작한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족을 주축으로 한 1만여 명의 전투병을 이끌고 지브롤터 해협을 건넜다. 당시 이베리아 반도를 통치하고 있던 서고트 왕국은 이를 무역선으로 착각해 변변한 전투도 치러보지 못한 채 이들의 상륙을 허용하고 말았다.

그 이듬해인 712년 서고트의 왕은 군대를 규합해 과달레테(Guadalete)에서 왕조의 명운을 건 대회전을 치렀지만, 그 자신을 포함해 귀족 대다수가 사망하는 패배를 당했고 안달루시아 지방은 이슬람 차지가 됐다. 

해바라기 밭이 지평선을 이루는 안달루시아 지방의 평원 [사진=조용준]

왈리드 1세는 우마이야 왕조 제2의 창건자로 불릴 만큼 가장 강력한 왕국을 건설했다. 그가 705년 칼리파가 되면서 우마이야 제국은 외부적으로는 동서로 영토를 확장해 나가고 내부적으로는 부를 축적하면서 평화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그의 치세 10년간 광대한 지역이 이슬람 제국에 병합되고 이슬람 문명과 그 영향력이 최고조로 올라갔다.

그러나 그의 정복사업은 이슬람 전파가 우선이던 이슬람 제국의 실제적인 건설자 오마르(Umar ibn, al-Kattab, 583~644) 칼리프와 달리, 실질적으로 물질과 부를 획득할 목적으로 전개됐다. 그래서 오마르 시대의 정복 사업은 ‘이슬람의 팽창’이라 불렸지만, 왈리드 시대의 정복 사업은 ‘아랍의 영토 팽창’이라고 불렸다.

이 당시 정복된 땅은 점차 이슬람화돼 정치적 영토의 확장뿐만 아니라 종교적 영역의 확장도 이뤄졌다. 따라서 이슬람 칼리파 권위에 충성하는 새로운 무슬림 신민들이 증가했다. 결국 왈리드의 정복 사업은 물질과 부의 획득이 우선이었으나, 그 결과는 오마르 때의 정복과 동일하게 이슬람 세계 확대와 무슬림 증가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왈리드 재임 기간에 이룩된 이슬람 제국은 그 이전에 생겨났던 어떤 제국보다 그 규모가 컸다.

아랍 정복자들은 정복 지역의 주민들을 이슬람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했다. 금요 예배에 참석하는 피정복민들에게 금전적 보상을 하고 아랍어로만 읽고 암기해야 하는 ‘꾸란(코란)’을 페르시아어로 낭송하는 것까지 허용했다.

모로코 수도 라바트의 슬라(Chellah) 유적지. 이베리아 반도를 지배했던 알모라비드와 알모하드 왕조의 왕실 묘지 터다. [사진=조용준]

전임 압둘 말리크에 의해 시작된 행정개혁은 왈리드 시대에도 계속됐다. 그리스어나 페르시아어로 된 납세자 명부는 아랍어로 번역됐고, 이에 따라 세제가 정비됐다. 각종 공문서와 보고서도 아랍어로 작성됐다. 제국의 재정을 든든히 하기 위해 여러 지역의 재정이 계속 재정비됐다.

제국의 번영으로 쌓이는 부를 이용해 왈리드는 대규모 건축을 진행했다. 메디나, 다마스쿠스, 예루살렘에는 대규모의 사원이 건축됐다. 그는 많은 길을 만들었으며, 특히 성지가 있는 히자즈 지방에 이르는 길을 만들고 잘 정비했다. 길 주위에는 사람들이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우물을 팠다. 그는 고아나 신체장애자와 같은 사람들을 돕기 위해 돈을 사용했으며, 그런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에게 봉급을 지불했다. 또한 사회적 약자를을 위한 병원과 숙소를 짓기도 했다.

이후 우마야드 왕조를 이은 알모라비드(Almoravids)와 알모하드(Almohads) 이슬람 왕조들은 안달루시아와 발렌시아(Valencia) 지방에 뿌리를 내리고 500년도 넘게 프랑스와 접경 지역인 북부 일부를 제외한 반도 전역을 다스렸다.

북부 카스티야(Castilla)와 아라곤(Aragon) 등의 기독교 왕국이 주도한 국토회복운동(레콩키스타)에 의해 코르도바(Cordova)가 점령된 것이 1236년, 세비야(Seville)가 1248년이니 이 두 도시는 각각 525년과 537년이나 이슬람 통치를 받은 셈이다.

우리의 일제강점기는 36년이다. 그런데도 그토록 많은 변화가 일어나 우리 문화와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500년도 넘은 세월이라면 이베리아 반도에서 저쪽이니 이쪽이니 구분하고 혈통을 따지는 것 자체가 사실상 별 의미 없는 행위임을 말해준다.

게다가 그라나다(Granada)의 경우는 세비야가 기독교 왕에게 넘어간 이후로도 243년 동안이나 더 존속하고 1491년에야 지배권을 내놓았다. 무려 780년 만이다.

뒤에서 자세하게 얘기하겠지만 그라나다가 고립된 이 200여 년 동안 기독교 왕들은 그들의 왕궁을 장식하는 데 있어 오히려 그라나라다의 장인들을 초청해 이슬람 양식으로 치장하는 등 활발한 문화의 혼혈과 융합이 일어났다. 짧게 봐서 500여년, 길게는 700여 년 동안이나 이베리아에서 이슬람 문화가 번성했으니 피는 물론 문화의 모든 것이 뒤섞였다고 보는 것이 올바른 시각이다. 
 

조용준 digibobos@hanmail.net

작가 겸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전 동아일보 기자, <주간동아> 편집장. <유럽 도자기 여행> 시리즈, <펍, 영국의 스토리를 마시다> 등 다수 저서 출간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 제2회 광복군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1940년 9월 17일 중국 중경 가릉호텔에서 성대한 행사가 열렸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창설식이었다. 미국 한인 동포들이 보내온 돈 4만원으로 조직한 군대였다.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20억 원 정도 된다. 총사령관 이청천 장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 제1지대장 이준식, 제2지대장 고운기, 제3지대장 김학규, 제5지대장에 나월환을 임명했다. 지대장은 지금의 사단장에 해당한다. 모두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를 비롯하여 남북 만주에서 전개된 항일무장투쟁에 직접 참여하여 활동한 독립군 출신이었다. 한국광복군 훈련반 제1기 졸업사진. [사진= 독립기념관]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포고문을 통해 "국내외 동포들에게 알립니다. 1940년 9월 17일부로 대한민국 광복군을 창설하였습니다. 광복군은 1907년 8월 1일 일제가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한 날이 바로 광복군 창설일임을 선언합니다. 광복군은 구 한국군의 후신으로 33년간에 걸친 의병과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을 계승한 전통 무장 조직입니다"라고 했다. 대한제국 국군-의병-독립군의 군맥(軍脈)과 군혼(軍魂)을 분명하게 잇고 있음을 천명한 것이다. 부대 편성은 소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사단 6단으로 편성하였다. 총 3개 사단을 조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원이 적은 상황에서 우선 지대를 만들고, 각 지대를 구대와 분대로 연계한 전투부대를 구성했다. 임시정부에서 1940년 9월 19일 중국 국민당 정부에 통보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직원 명단'에 의하면, 부대 규모가 총사령부와 4개 단위부대, 여기에다 조선혁명군 부대까지 포함하여 5000여 명이었다. 임시정부에서는 1941년 12월 연합국의 일원으로 일본에 선전포고했다. 1942년에는 미국 측에 "미국이 제주도를 해방 시켜 주면, 중경에 있는 임시정부를 제주도로 옮긴 후, 광복군이 미군과 함께 한반도 상륙작전을 전개하겠다."라고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실제로 미국 OSS 부대(지금의 CIA)와 1945년 4월부터 8월까지 강도 높은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했다. 주요 훈련은 3개월 기간에 고공낙하, 암살법(권총에 특수장치를 하여 소리 없이 암살하는 방법), 통신(암호의 작성 및 해독법, 무전기 조작 및 수리), 교란 행동, 정보수집, 폭파 등 이었다. 일과는 07:00∼12:00 오전 훈련, 13:00∼18:00 오후 훈련, 19:00∼22:00 야간 훈련이었다. 주요 임무는 대한민국으로 낙하산과 잠수함으로 침투하여 미 공군 공습에 필요한 지형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일본군 군사시설 탐지 및 파괴 지하 유격대를 조직하여 연합군 상륙작전 시 제2선에서 연결하는 작전이었다. 마침내 1945년 8월 7일 모든 훈련을 마치고 국내진공작전 출정식을 개최했다. 개시일은 8월 10일이었다. 출정식 때 장준하 경기도 공작 반장은 "나는 조국광복을 위해 죽음을 선택했습니다. 내가 나의 죽음을 지불하면, 내 능력껏 그 대가가 조국을 위해서 결제될 것입니다. 나의 각오는 한 장의 정수표입니다. 발생인은 장준하, 결제인은 조국입니다"라는 유서까지 작성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09-08 08:00
사진
'포스트 이시바' 누구?...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공식화하면서, 일본 정국의 관심은 차기 자민당 총재 선거로 쏠리고 있다. 집권당 총재가 곧 총리직을 맡는 일본 정치 구조상 이번 총재 선거는 사실상 다음 총리를 뽑는 절차다. 자민당은 조만간 새로운 총재 선거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지난 2024년 9월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총리와 경합했던 주요 인사들이 다시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정국 운영이 소수 여당이라는 제약 속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차기 총재가 야당과 어떻게 연대할지, 어떤 연립 구도를 짤지가 최대 쟁점으로 꼽힌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고 있는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권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고이즈미 농림수산상과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이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지난달 29~3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총리에 적합한 인물로 다카이치가 23%, 고이즈미가 22%를 기록했다. 나란히 1, 2위다. 자민당 지지층으로 한정하면 고이즈미가 32%로, 다카이치(17%)를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카이치는 2024년 총재 선거에서 1차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에게 역전패했다. 고이즈미 역시 의원 표에서 선두에 올랐지만 당원 표에서 밀리며 결선에 오르지 못했다. 두 사람 모두 당내 기반과 대중적 인지도를 겸비해 차기 선거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주자들이다. 고이즈미 농림수산상은 1981년생(44세)으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차남이다. 2009년 중의원 첫 당선 이후 줄곧 '포스트 아베', '차세대 리더'로 주목받았다. 환경상, 농림수산상을 거쳤으며 개혁 성향과 젊은 이미지로 지지층을 넓혔다. 2024년 총선에서 당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으나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이후 농림수산상으로 복귀해 쌀 유통 개혁 등 농정 개혁에 매진했다. 대중적 인지도와 '고이즈미 브랜드'라는 정치 자산이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은 1961년생(64세)으로 보수 강경파로 분류되는 여성 정치인이다. 2021년 총재 선거에 첫 도전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전폭적 지원을 받으며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총재 선거 1차 투표에서 최다 득표(의원 72표, 당원 109표)를 얻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 총리에게 역전 당했다. 유일한 여성 후보로서 '보수의 아이콘'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아베 전 총리와 가까웠던 의원 그룹이 주된 지지 기반이다. 이시바 정권에서 당직 제안을 거절하며 독자 노선을 유지해 왔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는 다카이치 사나에 전 일본 경제안보담당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야시·모테기 등 잠룡도 주목 고이즈미와 다카이치 두 선두 주자 외에 잠룡들의 행보도 주목된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옛 기시다파 일부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시바 정권의 2인자로서 존재감을 키워왔다.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은 당내 경험과 풍부한 인맥을 강점으로 삼고, 아소 다로 전 부총리와 교류를 통해 지지 기반을 다지고 있다.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은 5선 의원으로, 동기 의원들과 옛 니카이파의 지원을 받으며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 총재 선거 이후에도 정국 '안갯속' 자민당 총재 선거는 국회의원 표와 당원·당우 표를 합산하는 방식이 원칙이지만, 긴급 시에는 국회의원과 지방 지부 대표만 투표하는 '양원 의원 총회'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의원 표의 비중이 커져 파벌 역학이 중요해진다. 차기 총재가 선출되더라도 곧바로 정권 안정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일본 헌법상 총리는 국회에서 지명되는데, 자민·공명 양당은 현재 중의원과 참의원 모두에서 과반을 잃은 상태다. 따라서 야당이 단일 후보를 세워 결집할 경우, 자민당 총재가 총리로 지명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민당 총재가 총리에 오르더라도, 예산안·세제 개혁 법안 등 국정 운영은 야당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차기 총재는 곧바로 '연립 확대'나 '정책 연대'를 추진할 수밖에 없고, 총재 선거 과정에서도 어떤 야당과 손을 잡을지가 핵심 화두가 된다. 결국 이번 자민당 총재 선거는 단순히 차기 지도자를 뽑는 절차를 넘어, 일본 정치가 다당제 속에서 어떤 연립 구도를 구축할지 시험대가 되는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goldendog@newspim.com 2025-09-08 09:2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