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중국 핫!이슈] 바이두 또 의료 광고 논란, 못말리는 아이스크림 사랑, 반부패에 고위관료 수난

기사입력 : 2018년05월25일 17:01

최종수정 : 2018년05월25일 17:01

바이두, 웨이쩌시 스캔들 이후 시정 작업 불구 여전히 안전성 논란
중국 아이스크림 사랑, 각종 콜라보레이션 눈길

[서울=뉴스핌] 황세원 기자=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5월 21일~5월 25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바이두 아직도 정신 못 차렸나, 의료 광고 안전·신뢰성 논란

바이두가 웨이쩌시(魏則西) 스캔들 이후 2년만에 의료 광고 논란에 휩싸였다. 웨이쩌시 스캔들이란 2016년 4월 희귀암을 앓던 웨이쩌시가 바이두 검색 추천 병원에서 엉터리 치료 받고 사망한 사건이다.

최근 중국 유력 매체 신징바오(新京報)는 “바이두가 웨이쩌시 사건 이후 재발 방지 조치를 취했다고 했지만 여전히 시정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지난 22일 샹하이룽(向海龍) 바이두 부총재 겸 바이두검색 총재는 하이커우(海口) 바이두연맹포럼(百度聯盟峰會)에서 “바이두는 그간 의료 광고 안전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며 “예를 들어 암, 에이즈 등 중병은 검색이 되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말과 달리 소아마비, 심장동맥경화증 등 기타 중병은 여전히 바이두를 통해 추천 병원을 검색할 수 있다고 매체는 밝혔다.

또 다른 현지 매체 차이징왕(材經網)도 “웨이쩌 사건 이후 바이두는 페이지 당 상업적 광고 정보 비중을 30% 미만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30% 혹은 이를 초과하는 광고가 뜬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바이두의 의료 광고 사업 확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의료 광고는 바이두 검색 광고 중 매출 기여도가 가장 높다. 차이징왕에 따르면 바이두 매출 중 온라인 광고 매출 비중은 90%에 달하며 이 중에서도 의료 광고 비중은 20%~30%다.

◆ 중국인 못말리는 아이스크림 사랑, 각종 콜라보레이션에 '파 맛'나는 아이스크림까지

아이스크림의 계절 여름이 다가오면서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이 벌써부터 들썩이고 있다.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은 빠르게 규모를 확장하는 한편 다양한 업종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단순 식품 시장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Mintel은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이 최근 몇 년간 고성장세를 유지하며 유망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내 체형 관리 열풍으로 유제품 수요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이스크림은 예외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인의 아이스크림 사랑은 아이스크림과 기타 업종간의 이색 콜라보레이션으로 이어지고 있다.

2014년 중국 명문대 베이징(北京) 대학 물리학과 박사생이 액체질소 아이스크림 전문점 ‘먀오부과이(喵不乖)’를 오픈해 호평을 얻었고, 2017년에는 스타벅스가 중국 4개 도시 19개 매장에서 첫 커피 아이스크림 제품을 선보였다. 같은 해에는 베이커리 브랜드 중제1946 (中街1946)이 항저우 샤오펑(曉風)서점과 제휴, 중국 첫 아이스크림 서점을 열어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중국 내 아이스크림 인기가 뜨겁다 보니 중국에서만 맛볼 수 있는 이색 아이스크림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중국 유력 매체 제몐(界面)에 따르면 파 맛 아이스크림, 샹차이(香菜, 고수) 아이스크림 등이 출시돼 중국 소비자 입맛을 사로 잡았다.

한편 성장 잠재력도 높다는 평가다. 최근 중국 유력 매체 소비자보도(消費者報道)는 “중국인 아이스크림 평균 소비량은 2.3킬로그램으로 아태지역 평균치보다는 많지만 글로벌 평균 수준에는 한참 못 미친다”며 “향후 몇 년간 고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중국 정부 고위 공직자 자살 증가, 반부패 기조 강화가 원인?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왕샤오밍(王曉明) 베이징 시정부 부비서장이 업무 회의 이후 투신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현장 조사에 따르면 타살 의혹은 없으며 왕 부비서장은 오랫동안 우울증을 앓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고위 관직자의 자살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 유력 매체 제몐(界面)에 따르면 2009년 이후 2016년까지 고위 관직자가 자살한 사례는 무려 243건에 달했다. 자살을 선택한 정치인의 약 60%가 우울증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제몐은 24일 현지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감정 조절 실패나 가정사 등 개인적 문제 외에도 최근 반부패 척결 기조 강화에 일부 부패 관직자가 심리적 부담을 느끼고 자살을 택했다는 주장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중국 고위 관직자 자살 사례는 2009년 21건에서 2013년 10건으로 줄었다가 중국 반부패 정책이 강화됐던 2014년 59건으로 급증했다.

한편 자살을 선택한 중국 고위 관직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40~60대로, 전체 76.2%를 차지했다. 비교적 젊은 연령대인 30~40대의 정치인 비중도 10% 이상을 기록했다.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 뉴스핌 기고 국제 정세가 혼란스럽고 국지적 충돌과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 글로벌화가 역풍을 맞고 있고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직면한 많은 국가들은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 이러한 시기에 중국은 실질적인 행동으로 세계에 안정성과 긍정적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 중국은 세계 경제를 안정적 발전으로 이끄는 강력하고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세계 2위 경제국, 1위 제조업 대국이자 2위 소비시장이다. 이런 조건하에서 중국 경제는 체제와 수요, 공급, 인재 등 네가지 부문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보이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4년 중국 경제는 5% 성장률을 달성했고 GDP 증가량은 1조 500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중간 경제국가의 연간 경제 총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2025년 복잡한 환경과 숱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안정 성장 추세를 유지하여, 1분기 5.4% 성장을 달성했고 1~4월 상품무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더욱 중요한 성과는 외부의 압박과 억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돌파를 촉진하는 수많은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잇따라 '딥시크(DeepSeek)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설정된 발전 목표를 달성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엔진이자 안전 장치 역할을 계속 해 나갈 충분한 자신감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 대사. 사진=중국 대사관 제공.  2025.05.24 chk@newspim.com 중국은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확실한 힘이다.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 국책으로, 보호주의의 역류가 거셀수록 중국은 더욱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높은 수준의 개방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국제 사회가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것이다. 중국은 150여 개 국가 및 지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며, 30개 국가 및 지역과 23개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2024년 중국의 평균 수입 관세율은 이미 7.3%로 떨어져 절대 다수 국가보다 낮으며, 43개 최빈국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얼마 전 성공적으로 개최된 중국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는 주변국들과 협력하여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것임을 다짐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동남아 순방과 러시아 방문이 커다란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여러 국가 지도자들이 중국을 방문했다. 갈수록 더 많은 국가들이 중국과의 동행은 바로 기회와의 동행이며, 중국에 대한 신뢰는 곧 미래에 대한 신뢰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은 국제 질서를 수호하는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현행 국제 질서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이 체계의 수혜자이자 지지자, 수호자이다. 중국은 국가 간의 평등 및 호혜 상생을 견지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지향하며, '국력의 크기'를 발언권의 기준으로 삼거나 '자국 우선'을 국제 규칙 위에 두는 것에 반대한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은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국이다. 중국에 대해 '국제 질서 도전자'라고 지목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이전의 규칙 제정자(rule-maker)가 파괴자로 변해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부당한 관세 전쟁에 직면한 중국은 단호한 대응으로 국가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 나섰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공정성과 보편적 세계 정의를 수호하는데도 앞장섰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런 대응은 국제 사회의 많은 나라들이 적극적 협상을 통해 경제∙무역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여지를 넓혀줬다. 중국은 줄곧 각국의 운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더욱 그러하다고 여겨왔다. 중한 수교 이후 33년 동안 양국 간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은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으며, 양국 외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최근 몇 년간 중한 양국의 국가 상황과 지역 정세, 세계 구도에 모두 큰 변화가 있었고, 중한 관계의 복잡성도 다소 커졌다. 양국은 경험과 교훈을 총정리해 재인식, 재출발해야 한다. 이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중한 우호 협력의 강화가 양국과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는 점이다. 한국 정국에 변화가 일어나고 국제 정세 변화의 충격도 마주한 가운데, 대다수의 한국 국민은 국가적 통합을 강화하고 경제와 민생을 발전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많은 지인들은 중한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이 대내외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현재 중한 관계는 지난 날을 토대로 앞날을 개척하는 중요한 단계에 놓여 있다. 중국의 대(对)한국 정책은 확실하며, 중국은 최대한의 성의와 노력으로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할 의향이 있다. 한국이 시대 물결과 국제 흐름을 파악하고 바른 방향을 견지하며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건전하고 안정적이며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길 희망한다. 글 =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대사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2025-05-24 13:27
사진
트럼프 "애플 25% 관세, 삼성에도"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중국 등에서 대부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 같은 조치는 삼성전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애플(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이것은 삼성과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에게도 해당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내 제조를 장려하려면 모든 기업에 공정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2025.05.24 kckim100@newspim.com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현재 유지 중인 50%의 관세를 그대로 두겠다는 입장도 거듭 확인했다. 그는 "EU와의 대화가 더디다"면서 "협상 타결을 기대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루스 소셜 계정을 통해 "나는 애플의 팀 쿡에게 오랫동안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말해왔다. 인도나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그렇지 않다면,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미국에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에 대해서도 "우리의 협상 과정은 아무런 진전이 없다"며 "2025년 6월 1일부터 EU산 제품에 일관 50%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EU는 미국을 무역에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과 다름없고, 협상하기 매우 어려운 상대"라면서 "그들은 강력한 무역 장벽과 부가가치세, 터무니없는 기업 벌금, 비금전적 무역 장벽, 환율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부당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미국과 연간 2억 5000만 달러 이상의 무역 적자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증시에 바로 영향을 미쳤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는 마감을 앞두고 2.92%까지 하락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모두 1.5% 이상 떨어졌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5.14포인트(0.93%) 내린 545.13으로 장을 마쳤다.    kckim100@newspim.com 2025-05-24 04:3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