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중국증시 창업판 상장사 1Q 예상성적표, 70% 순익↑

기사입력 : 2016년04월20일 11:26

최종수정 : 2016년04월20일 11:26

기저효과, M&A 영향…온씨고분 창업판 전체 순익 20% 차지

[뉴스핌=이지연 기자] 중국증시 선전거래소 창업판(차스닥) 상장사의 1분기 실적예고 발표가 완료됐다. 창업판 종목의 70%는 순익이 증가했으며, 이중 11개 종목은 순익 증가율이 1000% 이상에 달했다.

중국 경제매체 화산재부(火山財富)에 따르면 창업판 상장사 501곳의 예상순익 총합 상한선은 158억4600만위안으로, 1곳당 평균 순익이 3162만8400위안에 달했다. 하한선은 133억1600만위안으로, 1곳당 평균 순익은 2657만8300위안을 나타냈다.

이를 종합하면 1분기 창업판 상장사 전체 순익의 동기비 증가율은 53.26%~82.38%에 달한다. 하지만 이는 기저효과인 것으로 풀이된다. 2015년 1분기 창업판 전체 순익 증가율이 고작 9%에 달했기 때문.

아울러 2015년부터 불어 닥친 외연확장식 M&A 열풍도 1분기 실적 향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예상순익 상한선 기준으로 봤을 때 순익 증가폭 상위 20개사 중 절반 가량은 합병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광발증권(廣發證券)은 기저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2분기 이후 M&A 영향도 감소하면서 창업판 실적 증가세가 크게 꺾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창업판 상장사 실적의 양극화가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특히 온씨고분(溫氏股份 300498.SZ)의 경우 예상순익 상한선 31억9400만위안으로 계산했을 때, 무려 창업판 전체 순익의 20.16%를 차지한다. 온씨고분은 돼지고기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1분기 순익 증가율이 360%에 육박했다.

온씨고분을 제외한 창업판 상장사 1분기 전체 순익은 103억1900만위안~126억5200만위안에 달하며, 이에 따라 동기비 순익 증가율도 18.77%~45.63%선에 그치게 된다.

창업판 상장사 중 예상순익이 10배(1000%) 이상 증가한 곳은 ▲영당지공(英唐智控 300131.SZ) ▲광선전매(光線傳媒 300251.SZ) ▲천룡집단(天龍集團 300063.SZ) ▲연창고분(聯創股份 300343.SZ) ▲선극신식(旋極信息 300324.SZ) ▲합강변빈(合康變頻 300048.SZ) ▲동방일승(東方日升 300118.SZ) ▲역성신능(易成新能 300080.SZ) ▲명가연합(明家聯合 300242.SZ) ▲동토과기(東土科技 300353.SZ) ▲부춘통신(富春通信 300299.SZ) 등 총 11개로 집계됐다.

아울러 98곳은 예상순익이 100% 이상 증가했으며, 59곳은 50~100% 증가, 120곳은 20~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27곳(25.35%)의 순익 증가율은 동기비 감소했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법,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특별검사)'의 재구속 적법성 여부가 오는 18일 나온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형사9-2부(재판장 류창성)오는 18일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을 진행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중앙지법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인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다음 날 새벽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hyun9@newspim.com 2025-07-16 14:41
사진
'강선우 임명' 딜레마 빠진 대통령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과 해명 번복, 임금 체불 논란 등이 이어지며 여론이 악화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인사 원칙과 여성 내각 구성이라는 정치적 목표 사이에서 셈법이 복잡해진 분위기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5일 마무리됐지만, 논란은 오히려 커졌다.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선 익명 폭로가 이어지고, 여성단체들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담을 토로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결정을 미루고 있다. 남은 청문회 과정을 모두 지켜본 후 종합 판단하겠다는 게 현재까지 대통령실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임명 강행'과 '철회' 사이에서 득실 계산이 한창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4 photo@newspim.com ◆ 여성 인재 중용 기조...정치적 부담 상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여성 인재 중용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내각 여성 비율을 30% 목표로 한다고 공언했으며, 여성가족부를 존치한 배경에도 그 같은 상징성이 깔려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 외에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여성 후보자들이 줄줄이 청문회에 오르면서, 한 명의 낙마가 전체 균형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적 부담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는 현직 국회의원이다. 만약 청문회를 거쳐 낙마할 경우, 이는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현역 의원 낙마' 사례가 된다. 이는 청문회 제도와 야당의 검증력을 키워주는 반면, 여당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의 리스크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시민사회와 보좌진들 사이에 형성된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 자체에 흠이 날 수 있다. 강 후보자는 앞서 '사적 지시는 없었다'는 취지로 부인했으나, 이후 공개된 텔레그램 메시지로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7.14 mironj19@newspim.com ◆ '버티기 인사' 반복시 내각 전체 불신 확산 우려 또한 임명 강행은 향후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에도 불똥을 튀게 할 수 있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버티기 인사'를 반복하면, 결국 전체 내각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게 일부의 우려다. 대통령실은 16일 이후 여론 흐름 등을 토대로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까지 모두 지켜본 뒤, 장관 인선을 '패키지'로 정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권 초반 인사를 둘러싼 시험대에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강 후보자의 임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여성 인재 정책과 인사 기준, 여당 내 권력구도와도 맞물린 상징적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회의원에게 보좌진은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의정활동 전반을 보좌하는 파트너이자 국민과 국회를 잇는 다리"라며 "그런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 2025-07-16 14:3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